제보
주요뉴스 광고

[사물인터넷] '인간없이 사물간 소통…'2차 산업혁명' 온다

기사등록 : 2014-07-01 14:2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IDC "2020년 7.1조$로 시장 팽창"…기업-정부간 협업 필요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지금까지 인터넷은 사람 전용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달라지고 있다. 모든 사물(Things)도 인터넷을 쓰고 서로 소통한다.

컴퓨터를 착용할 수도 있다는 이른바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 개념도 획기적이었지만 이건 사람이 개입돼야만 작동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사람이 중간에 끼지 않아도 사물끼리도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람의 생활은 더 스마트해질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가장 근본적인 개념이다. 만물인터넷, 혹은 M2M(Machine To Machine)이라는 용어로도 쓰이는 사물인터넷은 앞으로 어떤 세상을 만들까.

◇ "사물들이 스스로 알아서 소통"

사물인터넷은 사물이 인터넷, 통신의 주체가 되고 기기가 능동적으로 인간을 돕는 기술이다. 어느 순간 갑자기 불거진 이슈는 아니다.

지난 1999년 매사추체스추공과대학(MIT)에서 무선주파수인식(RFID) 전문가로 활동하던 케빈 애쉬튼이 이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RFID 및 센서를 사물에 탑재함으로써 사물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언급한 것. 당장 가능해 보이지 않던 그 기술은 이제 우리 생활 속으로 속속 파고들고 있다.

이를테면 도요타 등 자동차 업체들은 능동형 충돌방지 시스템을 내놓고 있는데, 사람이 충돌을 막기 위해 브레이크를 작동하거나 하지 않아도 자동차 안과 밖에 있는 센서가 위험을 감지하고 이를 핸들이나 브레이크 등에 알려 자동차 스스로가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했다. 사물이 이렇게 지능화하면 인간의 삶은 더 편리하고 스마트해질 수 있다. 물론 교통사고가 현저하게 줄게 되면 병원 응급실에 대한 수요가 급감하는 일종의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사물인터넷 세상을 가장 실감할 수 있는 예는 스마트홈이 될 것으로 보인다.(출처=가디언)
우리가 살고 있는 집도 더 똑똑해질 수 있다. 내외부 환경을 스스로 알아서 조명과 보안 등을 책임질 수 있게 된다. 에너지 분야에 적용되면 집집마다 돌면서 에너지 사용량을 점검하는 것이라든지 강제 절전 조치도 없어질 지 모른다.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원격으로 자동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건강, 운동 상태가 의료기관이나 스포츠센터 등에 자동으로 보고되면 자동으로 건강을 관리받을 수도 있게 된다. 

유통 산업도 크게 변모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늘고 있는 모바일 쇼핑은 더 똑똑해진다.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용자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마트에 들어가 자주 사는 품목 앞을 지나게 되면 관련 쿠폰이 자동으로 검색돼 알람이 뜨고 그 자리에서 바로 결제까지 끝내고 집으로 향할 수도 있게 되는 변화가 곧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 IoT 시장 팽창중…"2020년까지 7조달러 시장"

사물인터넷 시장에 대한 기대감은 크다. 일단 수치 전망은 어마어마하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향후 6년, 그러니까 2020년까지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가 7조1000억달러까지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IDC 분석으로 지난해까지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약 1조9000억달러. 이 가운데 90%는 선진국이 차지하고 있으며 '기기(device)' 매출 중심으로 산정된 것이다.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2020년이면 7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출처=ZDNet)
또다른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오는 2020년까지 온라인을 통해 260억달러 규모의 사물인터넷 기기가 팔릴 것으로 예상했고, ABI 리서치는 이 규모를 300억달러, 시스코 시스템즈는 그 두 배 가까운 500억달러 규모까지 보고 있다. 시스코는 사물인터넷은 약 14조달러의 가치를 갖고 있으며 이 가운데 27%인 4조달러는 제조업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직까지는 기기 판매 수준의 시장이지만 곧 이 플랫폼 기술은 4가지 기둥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형성할 것이란 전망이다. IDC는 그 4개 기둥을 이동성(mobility), 소셜 사업(Social Business), 빅데이터/분석(Big data/Anayltics), 클라우드(Cloud)로 봤다. 카니 맥길리브리 IDC 부사장은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은 팽창하고 있으며 연결 서비스와 인프라스트럭처, 애플리케이션, 보안, 분석, 전문 서비스 등을 포괄하는 생태계를 이룰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 애플 vs. 구글 "사물인터넷 패권은 내 것"

사물인터넷의 선두 주자는 다름 아닌 애플과 구글. 전 분야 전면전을 벌이고 있는 두 회사는 사물인터넷 패권을 두고도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사물끼리 스스로 소통하고 제어, 관리하게 되면 인간의 삶은 훨씬 편리하고 스마트해질 전망이다.(출처=텔레그래프)
구글이 지난 1월 시장의 기대감에 확 불을 당겼다. 32억달러라는 거금을 들여 네스트 랩스(Nest Labs)라는 스마트홈 시스템 업체를 인수한 것. 이 업체는 집의 온도를 스스로 측정해 에너지 사용을 조절하는 등의 기술을 갖고 있다. 구글은 무인차와 로봇 사업을 통해서도 IoT의 큰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최근엔 드롭캠이란 업체도 인수하면서 구글의 그림이 더 선명해졌다. 드롭캠은 인터넷 감시 카메라 전문업체로 집 안에서 벌어지는 일을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감시할 수 있는 CCTV로 잘 알려져 있다. 네스트 랩스와 함께 집 안에서의 사물인터넷, 즉 스마트홈 구현은 곧 현실이 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구글은 이 업체를 사는데에도 5억5500만달러를 썼다.

애플도 이달 초 세계개발자대회(WWDC)에서 새로운 홈 오토메이션 기술 홈킷(HomeKit)을 선보이는 등 사물인터넷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홈킷은 아이폰을 이용해 집의 온도와 조명, 출입문, 각종 가전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팔찌 형태의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를 이미 내놓은 조본(Jawbone)의 바디미디어(BodyMedia) 인수도 눈에 띄는 IoT 사업 확장이었다.

◇ 기업-정부 기준마련 등 협력 필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중국의 급부상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판매할 시장도 크지만 무엇보다 신기술 개발과 보급에 적극적인 정부 몫도 크다는 분석이다. 최근 보고서에서 GSMA는 지난해 중국이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의 4분의 1이 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고 분석하고 "중국이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렇듯 사물인터넷 시대에 제대로 대비하기 위해선 기업과 정부의 협업이 무엇보다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의 구조가 기업 스스로 감당하기에는 벅찰 만큼 혁명적 변화를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외 표준 마련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할 부분도 크다. 이미 선진국들은 산업 경쟁력 제고와 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