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어느 순간부터 무인 항공기 드론(drone)이 우리 곁에 친근하게 다가왔다. 단순히 군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쓰였던 드론은 정찰 기능을 지나 최근엔 살상무기로까지 활약(?)했다. 지금도 대부분이 군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친근한 이미지로 다가오기 시작한 건 아마존이 택배에 드론을 사용하겠다고 밝힌 것이 큰 계기가 됐다.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예상과 전망이 대부분. 기술적 개발도 그렇지만 법과 제도적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1916년 등장, 군사용으로 주로 활용
드론은 사람이 기체에 타지 않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통칭한다. 다만 조종사가 리모콘 등으로 간섭하지 않아도 미리 장착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선조종(remote control)기와는 구분된다.
드론의 등장은 생각보다 이르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916년 군인출신 과학자 아키볼드 로가(Archibald Low)의 '에어리얼 타깃(Aerial Target)'이란 프로젝트에서 시작됐다. 군사용이었다. 사람이 타지 않은 무기를 실은 비행체가 먼 거리의 적을 타격하는 개념. 조종사가 부상당할 수 있는 안전의 문제가 줄어들고 조종석 공간이 줄면 무기를 더 싣고 연료는 덜 실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군사용 드론의 개발은 계속돼 왔다.
드론이란 이름이 붙은 건 1930년대. 비행하는 소리가 윙윙거리는 수벌을 연상케 하는 데서 유래됐다. 이 때까지만 해도 드론은 실제 전장에 활용되기보다는 교육이나 훈련 목적으로 사용됐고,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때 실전으로 첫 투입돼 상대 기지를 정찰하는 데 큰 역할을 해냈다. 이후 드론은 계속해서 군을 중심으로 개발돼 왔다. 미군은 아프가니스탄이나 파키스탄, 예멘 등 분쟁 지역 군사작전에 있어 미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드론 사용을 늘리고 있다.
◆ 팽창 중인 드론 시장..아마존 필두 상용화 '가속'
(출처=PC월드) |
제프 베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초 "아마존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반경 16km 이내 지역에 있어선 5파운드 이하 택배 물품을 30분 안에 집 앞까지 드론으로 배달할 계획"이라면서 상용화 시점을 앞으로 4~5년 뒤로 예상했다.
이미 세계적인 운송기업인 UPS와 DHL 역시 드론을 통한 배송을 시험하고 있다. DHL은 지난해 12월 패킷콥터(Paketkopter)라는 이름의 드론으로 강 건너 지역에 물품을 배송하는 것에 성공했다. 앞으로 지리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긴급 수송을 할 경우에 이를 활용할 계획이다. UPS는 사내 시스템에서 드론을 활용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직접 소비자에게 배송할 때 쓰는 것이 아니라 물류센터 간 배송에 활용할 것을 검토중이다.
(출처=월스트리트저널) |
펜디 로고를 붙이고 캣워크에 올려진 드론(출처=이브닝스탠다드) |
영화 현장에서도 추격 장면이나 부감 샷을 찍을 때 드론이 이용된다. 고가품 업체 펜디(Fendi)는 올해 밀라노에서 열린 가을/겨울 패션쇼 캣워크에 펜디 브랜드를 붙인 드론을 내보내기도 했다. 영국 국영방송사 BBC도 드론 사업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 법-제도 마련 시급
드론은 사고나 충돌 등 안전 문제와 교통 혼잡의 문제,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아마존은 내년까지 미국 연방항공청(FAA)을 설득해 보겠다고 밝혔다. 드론을 배송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아내겠다는 것. FAA는 아직까지 확답은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웹사이트 상으로 FAA는 "드론 상용화를 위한 모든 규정과 기준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면서 체계적으로 시간을 들여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WSJ는 이 말이 2015년까지 드론과 관련한 새 규정을 갖추진 못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FAA는 대신 올해는 무게가 55파운드(24kg) 이하인 드론에 관한 규정을 제안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하버드와 스탠포드, 듀크대 등의 항공과학 관련 교수들이 "FAA가 드론 상용화에 대한 기준을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려 한다"며 이것이 연구개발 의욕을 꺾을 수 있다고 성명을 내기도 했다.
영국과 호주 등은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규정이 덜 까다로운 편. 호주에서는 상업용 드론 조종자가 조종이 가능하다는 사실, 그리고 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마련한 기본 기준을 충족한다는 것만 입증하면 된다. 이에 따라 드론 운영 업체가 작년만 해도 30개였던 것이 올해 70개로 대폭 늘어났다.
이브닝스탠다드에 따르면 영국에서 드론 서비스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있는 부카드론의 경영자 벤 피셔는 "미국과는 달리 영국 민간항공청(CAA)에선 300대의 상용 드론을 허가해 줬는데 이는 전년 30개에서 크게 늘어난 것"이라면서 "성장성이 크고 매우 흥미로운 시장"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에 법적 자문을 해주고 있는 알렉스 튜티는 "CAA와 드론 허가와 관련한 논의를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면서 "드론에 대한 허가가 10배로 늘었지만 아직까지 불평이 접수되고 있는 건수는 늘지 않았다"라고 전했다. 그는 "많은 드론이 오디오, 비디오 녹화가 가능해 사생활을 침해할 가능성이 분명히 있다"면서 "이렇게 수집된 콘텐츠에 대한 배포, 유통에 대한 법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