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고종민 기자] 정부가 국내 민간전문가·업계 대표와 함께 중국 정부와 공동으로 콘텐츠산업을 위한 '한·중 다자협의체' 구성을 추진한다.
아울러 이를 계기로 2017년까지 중국으로 콘텐츠 수출액 규모를 40억달러로 확대키로 했다.
정부는 10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콘텐츠산업 한중 동반성장 추진 대책'을 의결하고 이같은 내용의 대책안을 공개했다.
우선 콘텐츠 유관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 등 정부 부처, 민간전문가, 업계 대표 등으로 구성하는 해외콘텐츠협의체가 내년 1월 공식 발족한다.
나아가 한국 측 문체부·미래부·방통위는 중국 측 문화부·광전총국·판권국과 공동으로 게임, 문화산업정책, 방송, 스마트콘텐츠 등 콘텐츠 전반을 논의하는 다자협의체를 내년에 발족키로 계획을 세웠다. 양 측은 콘텐츠지원센터 설립하는 안도 담았다.
김현기 문체부 문화산업정책과장은 "우리 입장에서는 중국의 규제 완화·저작권 인식 개선·한국의 인적자원 보호 등을 꾸준히 요청할 예정"이라며 "자국 문화산업 보호에 적극적인 중국 측과의 직접 논의를 통해 현지 진출과 관련한 어려운 사항들의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정부는 콘텐츠 인프라 강화를 위한 방안을 내놓았다. 문체부에 따르면 영세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영세기업 지원 전문펀드가 2017년까지 500억원 규모로 확대된다. 기획단계 지원펀드도 같은 해 500억원 규모로 늘린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공동의 중국자본 투자설명회도 개최한다.
정부는 중국 수출 정보를 한 자리에 모은 콘텐츠 포털을 운영하며, 시장 진출에 대한 성공과 실패 사례도 데이터베이스화할 예정이다.
또 콘텐츠 활용도 제고도 중요 과제다. 다각도의 콘텐츠 활용(OSMU) 지원과 함께 간접광고(PPL)와 광고시간을 대가로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신디케이션 공급' 등 수익 모델 모색도 지원한다.
정부는 중국 진출과 관련해 급성장중인 중국내 모바일게임 시장 진출과 뮤지컬, 스타프로젝트 기획을 통한 공연업 협력 기반 확대 등에 초점을 맞춰 '선택과 집중'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콘텐츠 기업들은 콘텐츠지원센터를 통해 중국으로의 수출과 관련한 법률·기업 협상·조세·지적재산권·계약서 작성 및 검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센터는 중국 현지에서 투자설명회 개최, 정보 수집, 콘텐츠 포털,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통해 콘텐츠기업의 수출을 지원한다.
또 정부는 중국시장에 맞는 핵심 콘텐츠 육성 및 지역별 세분화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게임의 경우 중국에서 모바일 게임이 급성장하는 추세에 맞춰 모바일 게임 콘텐츠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중국 시장은 한국 콘텐츠 수출의 83%를 차지한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합자·합작 형태의 공연매니지먼트사가 설립되는 공연업의 경우 뮤지컬 등 스타프로젝트 기획을 통해 진출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중국의 규제 강화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틈새시장 공략 ▲영상물 공동제작 ▲방송 포맷 및 프로듀싱 기법 수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온라인 플랫폼 등 뉴미디어 판로도 확대해 나간다.
[뉴스핌 Newspim] 고종민 기자 (kj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