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아베, 미국 상·하원 연설에서 과거사 사과할까

기사등록 : 2015-03-24 10: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주변국 여론에 귀 닫아" vs "미국 압박 있을 것"

[뉴스핌=배효진 기자] 내달 26일 미국을 방문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방미 일정이 확정되며 일본의 과거사 왜곡 문제 사과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최근 동북아시아에서 일본의 과거사 왜곡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데다 한국과 중국 등 주요국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가 일본 현직 총리로는 사상 처음으로 미국 상·하원 연단에 오르기 때문이다. 

아베신조 일본총리 [사진=신화/뉴시스]

한국과 중국 등 주요 당사국들은 이번 연설에서 아베가 진정성 있는 사과의 뜻을 표할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아베 총리가 과거사 왜곡을 지적하는 주변국들의 목소리에 철저히 귀를 닫고 침략 사실마저 부정하려는 시도를 보여왔기 때문이다. 그는 지난해 7월 호주 캔버라에서 가진 연설에서도 주변국에 대한 침략사실을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반면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이 미국이 아닌 전 세계를 향한 메시지라는 점에서 아베 총리가 주변국 침략에 대한 사과의 뜻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웬디 셔먼 미국 정무차관으로 불거진 사안의 민감성과 올해가 세계 2차대전 종전 70주년으로서 의미가 남다르다는 점에서 미국이 일본에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개선하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달 웬디 셔먼 미국 정무차관은 "동북아에서 민족감정이 여전히 이용되고 있으며 정치 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다"면서 "이 같은 도발은 진전이 아닌 마비를 초래할 뿐"이라며 피해국들의 분노를 산 바 있다.

한국과 중국은 물론 사안의 민감성을 확인한 미국 보수진영도 일제히 셔먼 정무차관의 과거사 인식을 냉정하게 비판했다.

미국 국무부 당국자들은 "일본이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 등 과거 두 차례의 과거사 관련 담화를 계승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이 밖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와 미·일 상호방위조약 개정 등 양국의 '신밀월관계'를 돈독히 할 굵직한 사안에 대한 논의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의전규정상으로는 '공식방문(official visit)'이지만 형식이나 내용 등은 '국빈방문(state visit)'과 동일한 최고 수준이 될 것이라는 게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아베 총리는 일본 '골든위크' 연휴인 다음달 26일부터 5월2일까지 미국 수도인 워싱턴DC와 보스턴,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를 순방한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