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中 ‘중국제조 2025’ 10대영역 밝혀, 독일제조 추격

기사등록 : 2015-03-25 17:3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베이징= 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중국정부가  제조강국 청사진인 '중국제조 2025'  와 관련해  10대 중점 육성영역을 발표하는 등 제조업 발전을 위한 구체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25일  ▲차세대 정보기술  ▲제어공작기계와 로봇산업 ▲우주항공 장비  ▲해양 엔지니어설비와 고기술선박 ▲선진궤도 교통장비  ▲에너지절감장비와 신재생에너지자동차  ▲전력장비 ▲신소재  ▲바이오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계  ▲농업기계장비를  '중국제조 2025'의 중점 육성 10대 산업분야로 지정 발표했다.   

한편으로는 정부의 이런 제조강국 비전에 따라 중국 대형 국유기업은 글로벌 대형 업체를 인수하는 등 제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체 노력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 주요 매체와 외신들은 최근 중국화공그룹(中國化工集團, 켐차이나)이 자회사인 중국화공상교유한회사(中國化工橡膠有限公司•CNTR)를 통해 이탈리아 타이어생산업체 피렐리(Pirelli)를 인수했다는 소식을 일제히 전했다.

이번 인수안은 중국화공그룹이 피렐리의 지주회사 캄핀(Camfin)이 보유하고 있던 피렐리 지분 26%를 주당 15유로에 매입한 후 나머지 지분 전체를 장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며, 총 거래규모 71억 유로(한화 약 8조 5667억원)로 중국 제조업 사상 최대 규모의 해외 인수합병안이라는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피렐리는 국제 자동차경주대회와 포뮬러원(F1) 타이어 공식 공급업체로 유명하며, 매출 기준 세계 5위의 글로벌 다국적 기업이다. 반면, 타이어 제조 업체인 중국화공상교유한회사는 중국 국유기업인 중국화공그룹이 모기업이나 주요 판매 시장이 중국에 국한되어 있어 해외에서의 지명도와 경쟁력은 열세에 처해있었다.

중국화공그룹은 이번 M&A를 통해 고성능 타이어 등 부가가치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신흥국 진출에 있어서도 F1 납품업체인 피렐리의 지명도를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중국화공그룹이 사상 최대 규모의 해외 M&A를 추진할 수 있었던 데에는 무엇보다 중국 정부의 의지가 컸다는 분석이다. 최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제조강국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제시하며 '세계 일류 기업 육성'을 강조했고, 그 구체적 실천방안으로 리커창(李克强) 국무원 총리는 '중국제조 2025' 전략을 발표했다.

◆ 중국판 '인더스트리 4.0', '중국제조 2025' 

중국은 이번에 '중국제조 2025' 10대 중점 영역을 발표하기에 앞서 3월중순 폐막한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정부차원의 입장을 상세히 밝힌 바 있다.   리커창 총리는 당시 정부업무보고에서 "제조업은 중국의 우위산업이다. '중국제조 2025'를 통해 혁신 추진·스마트화 전환·기초 강화·녹색발전을 견지하고,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전환을 촉진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재정 보조금·가속상각 등 조치를 취해 전통산업의 기술 개조를 추진한다. '유보유압(有保有壓, 소비수요 보장 및 투자규모 압박, 경제 질 보장 및 성장률 압박, 정부개혁 보장 및 행정월권 압박)'을 견지하고 과잉생산능력을 해소하며, 기업 합병 및 구조조정과 경쟁중 '적자생존'을 지원한다. 산업화와 정보화의 심도 있는 융합을 촉진하고 인터넷화·자동화·스마트화 등 기술을 개발 이용해 핵심 분야에서의 기회를 선점하고 돌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990년대까지 글로벌 제조업 생산총액 중 3%에도 못 미치던 중국의 비중은 현재 25%까지 늘어났고, 전세계 에어컨의 80%, 휴대폰 70%, 신발 60%가 모두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중국은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면서 명실상부 세계 최대 제조대국으로 거듭났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제2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인구보너스 감소로 인한 인건비 상승∙중국 경제성장세 둔화∙글로벌 경기 침체 등으로 제조업에 빨간 불이 켜졌고, 급기야 동해 연안 제조업 중심지역을 중심으로 파산하는 제조기업이 속출했다.

첨단제품시장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을 강조하며 정부 차원에서도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도 저기술∙저비용 제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혁신능력이 낮은 상태다. 일례로, 글로벌 의류 수출 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의 42.6%에서 2013년 43.1%로 오히려 늘어났다.

이를 반영하듯 제조업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PMI 지수도 심상치 않다. 24일 HSBC가 발표한 중국 3월 제조업 PMI 예비치는 49.2로, 당초 예상을 크게 밑돌며 제조업 상황이 악화됐음을 시사했다. 제조업이 악화하면 고용 안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고, 수출입 감소로 디플레이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는 만큼 중국 정부에게 있어 제조업 혁신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런 상황에서 발표된 ‘중국제조 2025’는 향후 30년 내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도약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제조업 강국 건설을 위한 이른바 ‘3개 10년’ 전략의 행동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제조 2025′는 2025년까지 세계 2위 제조업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이 개혁개방을 통해 일궈낸 경제발전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시켜줄 신(新) 성장동력으로 창업과 혁신이 강조된 가운데, 창업과 혁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중국제조 2025′인 것이다.

◆ 인터넷 융합, ‘스마트 제조업’이 대세

‘중국제조 2025’의 핵심은 노동집약형 제조업에서 벗어나 기술집약형 스마트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 제조업 강국 건설을 위해 인터넷 및 정보기술과 제조업의 융합이 강조되고 있고, 전통 산업에 모바일인터넷과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사물간 인터넷 기술을 융합하는 ′인터넷 플러스(+)′ 액션플랜 도한 '중국제조 2025'와 맥을 같이 하며 스마트 제조업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공업 및 정보화부(공신부)는 향후 20년 중국 산업인터넷의 발전으로 국내총생산(GDP)가 3조 위안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하며, 상호연계∙클러스터∙스마트 생산∙데이터 처리∙제품 혁신이 ‘중국제조 2025’ 계획의 수혜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제너럴일렉트릭(General Electric)은 산업인터넷으로 글로벌 경제의 46%(약 32조3000억 달러 규모)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기남대학(暨南大學) 경제학원 류진산(劉金山) 부원장 겸 교수는 “제조업의 디지털화 혁명은 신 산업혁명의 핵심”이라며 제조업의 디지털화란 ▲스마트 소프트웨어∙신소재∙정밀 로봇∙3D 프린터 등 새로운 제조방법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상업 서비스와 힘을 모아 형성한 새로운 제조모델 ▲ 생산통제시스템의 일체화 ▲디자인∙제조∙소비자 반응의 일체화 ▲제조시스템의 소형화 ▲지식형 근로자 주도형 제조업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류진산은 또 “미국의 제조업 부활 전략이나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또한 생산 및 제조업 고도의 디지털화∙인터넷화를 통한 스마트 제조 및 실시간 관리를 강조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첫째, 자동화 설비 및 로봇산업, 둘 째, 산업 소프트웨어 및 칩 설계 분야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제조 2025' 계획이 등장한 이후 투자자의 이목 또한 이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 대다수 증권사들은 '중국제조 2025'가 향후 상당기간 투자 재료가 될 것이며, ▲산업자동화 ▲산업인터넷 ▲산업로봇 ▲3D프린터 ▲감지센서 ▲스마트공작기계 등 업종에 거대한 투자기회가 숨어있다고 전망한다. 

국태군안(國泰君安)은 "'중국제조 2025'는 향후 10년 발전 처사진을 제시했으며, 인터넷과 전통 산업의 융합이 중국 제조업 발전의 새로운 '감제고지'이자 스마트 제조업은 중국 제조업 미래의 주요 공략 방향이 될 것"이라며 "중국 국내 많은 제조기업들이 구조전환을 추구함에 따라 이 것이 새로운 투자 포인트를 형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대증권(光大證券)은 "제조업은 여전히 중국에서 국제화 수준이 높고 경쟁력을 갖춘 업계이자 중국 경제성장의 가장 직접적인 동력을 가지고 있다"며 "로봇·무인기·대형 설비 제조·인프라 등 제조업의 미래가 매우 밝다"고 내다봤다.

해통증권(海通證券) 또한 "'중국제조 2025' 계획이 국무원에 보고될 날이 멀지 않았고, 정책이 점차 구체화 함에 따라 올 한해 관련 투자 기회들에 주목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해통증권은 유망 업종으로 사물인터넷 ▲감지센서 ▲클라우드 컴퓨팅 ▲3D 프린터 ▲웨어러블기기 ▲자동차 전자 등을 꼽았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