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중동의 화약고'로 부상한 예멘, 이유와 배경은?

기사등록 : 2015-03-27 11:1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이슬람권 시아파 vs 수니파 종파 갈등 대리전 양상

[뉴스핌=노종빈 기자] 최근 예멘 사태로 인해 국제유가가 급등하며 회복세를 보이던 글로벌 경제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멘 남부는 과거 수 백년간 동서 교류의 중심지로 과거 영국 식민지였던 지역이었다. 최근 내전이 수니파와 시아파 간 종파 갈등 및 분쟁 양상으로 번질 경우 장기화될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지역 주요국들이 예멘 후티 반군을 겨냥해 군사 작전을 개시한 가운데, 예멘 남부 라히지의 한 기지에서 현지 정부군이 경계태세를 취하고 있다. <사진 = AP/뉴시스>
◆ 영국 식민지로 150년간 분단

예멘은 북위 12도에서 20도 사이 아라비아반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해안과 산지, 사막 지형 등을 고루 갖춘 국가다.

예멘 서부는 홍해로 접어드는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동부에는 해발고도 2000미터가 넘는 고원 지형이 있어 기온은 쾌적하지만 일교차가 30도 가까이 된다.

과거 수 백년 동안 동서 교역의 중심지였던 예멘은 1500년대부터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영토로 편입됐다. 예멘 남부에 위치한 최대 항구도시 아덴은 예로부터 동서양 간 항로를 운항하는 선박들이 정박해 연료를 보충하던 곳이다.

예멘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간파한 영국은 지난 1839년 중심 항구도시 아덴을 점령 남예멘을 식민지화했다. 이후 예멘은 1990년 재통일되기까지 151년 동안 분단된다.

세계 1차대전 이후 오스만투르크의 붕괴로 1918년 북예멘이 먼저 독립했다. 남예멘은 약 50년 뒤인 196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며 사회주의 체제를 받아들여 구소련의 영향권에 놓이게 된다.

지난 1990년 남북 간 합의로 통일정부가 구성됐지만 곧 내전으로 비화했고 지난 1994년 북예멘을 중심으로 한 정부군이 남예멘 세력을 진압함으로써 통일국가가 됐다.

◆ 예멘, 전략적 안보 요충지

하지만 지난 2004년부터 예멘 서북부를 중심으로 시아파 무장 단체 후티가 세력을 확장하며 예멘 정권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급기야 지난 2014년 9월 후티 반군은 수도 사나를 점령하는 쿠테타를 일으켰다.

인접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예멘이 무너질 경우 안보적 위협이 될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시장분석업체 IHS에 따르면 사우디는 미국 전체 무기수출의 7분의 1 가량을 구매하고 있는 군사 강국이다.

또 홍해를 중심으로 아라비아 반도 남부 예멘과 아프리카 동부 소말리아를 잇는 2㎞ 길이의 바브엘만뎁 해협은 하루 340만배럴 규모의 원유가 대량 운송되는 구간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랍 주요국들이 지난 25일 연합해 공습에 나선 이유는 후티 반군이 예멘 최대 도시인 아덴마저 공격, 홍해 지역의 안전한 통행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해협이 봉쇄되거나 안전한 통행이 어려워질 경우 유조선들은 아프리카 대륙을 돌아 이동해야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국제 유가 등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시아파·수니파 간 종파 갈등이 원인

최근 중동을 중심으로 한 이슬람 종파 내부에 잠재한 갈등의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멘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은 시아파 정권인 이란과 수니파 정권인 사우디아라비아 간 대리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중동 이슬람권은 마호메트의 혈통을 유일한 지도자로 인정하며 전통을 중시하는 시아파와 역대 종교 권력자인 칼리파를 지도자로 인정하는 수니파로 나뉜다.

예멘이 위치한 아라비아 반도 남부 지역은 수니파가 대략 70대30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가운데 시아파는 소수를 형성하고 있다. 또 예멘과 인접한 사우디아라비아는 수니파가 대다수이지만 중요 유전 인근 지역에는 시아파 주민들이 더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공습에 참여한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 쿠웨이트, 카타르, UAE, 바레인 등 주요 산유국들은 모두 수니파가 우세한 국가들이다.

◆ 미국 등 서방 개입 가능성 낮아

미국 등 서방 주요국의 예멘 사태 개입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불확실하다.

서방 측과 이란과의 과거 10여 년에 걸친 비핵화 협상 노력이 긍정적인 결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미국이 예멘 사태에 군대를 투입할 경우 그간의 화해 노력이 자칫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아파 계통인 예멘 후티 반군은 수니파 무장단체인 IS나 알카에다와는 달리 자살테러나 학살 등 극악한 전술을 사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2년 '아랍의 봄' 사태 이후 집권한 압드 라부 만수르 하디 예멘 대통령은 당시 쿠테타 세력을 피해 탈출, 현재 국외 모처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각에선 반군이 진압되더라도 사우디아라비아와 서방이 지원하는 새로운 정권이 들어설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노종빈 기자 (untie@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