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 채권시장 ‘공급 과잉’, 괜찮을까?

기사등록 : 2015-04-08 17:2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베이징= 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쏟아지는 물량에 중국 채권 시장이 심상치 않다. 지난해 나타났던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동반 활황세는 끝이 나고 채권시장은 넘쳐나는 물량을 소화못해 비상등이 커졌다.

경제관찰보(經濟觀察報)는 상하이종합지수는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며 사실상 4000포인트 고지에 도달했으나 채권시장은 올 3월 이후 조정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이 인용한 바에 따르면, 지난 1개월간 채권투자상품 수익률이 급등하면서 3월 말 10년 만기 국채와 국가개발은행 채권 수익률은 각각 0.3%, 0.6%씩 상승했다.

경제 펀더멘털 불안과 함께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고, 주식시장이 불마켓을 연출하고 있으며 대규모 신규 기업공개(IPO)가 대기 중인 상황에서 1조 위안 규모의 지방정부 채무 교환 프로그램과 부동산 정책 완화까지 더해져 채권 수요에 강한 압박 요인이 되고 있다.

◆ 지방채 급증 등 채권시장 공급 과잉 가시화

채권시장의 혼란을 가중 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는 지방정부의 채권 발행 규모는 상당한 반면 이에 대한 수요는 약한 것이 꼽힌다. 은행 및 보험사 등 대형 금융기관들이 주요 채권 수요자들이지만 현재 금리 시장화 추세에 따라 이들 기관들의 자금비용이 높아졌고 전체 수익률은 낮은 수준이라 채권 투자를 늘릴 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올해 채권시장의 ‘수급 불균형’ 문제는 상당히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의 예산안에 따르면, 올해 약 5000억 위안 규모의 지방정부 공공 재정적자를 지방정부가 발행하는 일반채권으로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별개로 국무원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공공 프로젝트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1000억 위안 한도의 지방정부 전문채권 발행을 승인했고, 더불어 재정부가 지난달 지방정부에 1조 위안규모의 채권 발행을 허용해 만기가 도래하는 고금리 채무를 저금리로 전환하거나 만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 

채무교환 프로그램의 일환인 이 조치에 따라 올 한해 지방정부 채권시장 총 규모는 1조6000억 위안에 이르고, 이 가운데 순융자 규모는 6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채뿐만 아니라 2015년 이자채권(利率債, 주로 국채∙정책성 금융채권∙중앙은행 어음 등을 가리킴) 발행 규모도 예년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화창증권(華創證券)이 인용한 재정부의 2분기 국채 발행계획에 따르면, 4월과 5월 6번의 일반국채와 2번의 할인채권, 6월에는 4번의 일반국채와 2번의 할인채권 발행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4월과 5월 국채가 1주일에 2번씩 발행되는 셈이며, 일반국채 발행 규모만 200억-280억 위안에 달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우지웨이(樓繼偉) 재정부 부장(장관)이 지난달 열린 보아오포럼에서 한 발언은 시장의 예측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러우 장관은 당시 “올해 각 지방정부의 1조 위안 채권 발행 상황에 주목한 뒤 또 한 차례의 교환을 준비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경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당장 추가 채무 교환 프로그램이 나올 가능성은 작지만 정부의 공식적 태도가 시장심리를 좌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중앙은행이 확실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지방채 공급 급증이 전통 이자채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켜 무위험이자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화창증권은 ‘망했다’라는 말로 현재 채권 발행시장이 처한 어려움을 표현하며 “올해 국채 및 지방채 공급량이 예년보다 큰 상황에서 채무 교환프로그램까지 나와 채권 발행에 ‘설상가상’ 국면이 형성되었다”고 덧붙였다.

◆ 채권발행 급증, 어떻게 소화할까?

방대한 규모의 채권을 과연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가 최대 고민거리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이달 1일 국무원 상무회의가 사회보장기금의 투자범위를 확대하며 기업채와 지방채에 대한 투자 비율을 20%까지 늘리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대해 신만굉원(申萬宏源) 수석 애널리스트 스판(師范)은 “2014년 말 전국 사회보장기금 자산(1조5289억6000만 위안)을 기준으로 추산할 때, 사회보장기금의 지방채 및 기업채 투자 한도는 3000억 위안 가량이 될 것”이라며 “사회보장기금의 지방채 투자가 호재이기는 하지만 실제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스판은 “사회보장기금의 3000억 위안이 이자 상승 부담을 완화하는 데는 물론 도움이 되겠지만, 그러나 어디까지 ‘투자 가능한 규모’가 3000억 위안일 뿐 실제로 투자를 할 대는 수익률을 볼 것”이라며 “지방채 수익률이 국채보다 낮다면 왜 지방채에 투자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스판은 그러면서 사회보장기금보다는 시중은행이 보다 적극적으로 지방채 투자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회보장기금의 경우 수익률은 국채보다 낮고 리스크는 국채보다 높은 지방채에 투자할 이유가 없지만, 시중은행은 재정예금 유치 수요로 인해 지방채에 투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채권시장 ‘혹한기’, 계속될까?

채권시장의 향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소 엇갈리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수급 요소를 고려할 때 향후 수개월 계속해서 조정을 받으며 올 2분기가 분명 가장 힘든 시기가 될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경제가 계속 피로한 모습을 보인다면 올해 채권시장도 불마켓 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방정부가 투자에 소극적인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에 다소 온기가 든다해도 실제 부동산 투자 데이터가 눈에 띄게 나아지지 않는 가운데 이자가 조금 더 높아진다면 수요가 살아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자금조달 비용은 높고 이자가 낮으면 채권투자를 늘릴 필요가 없겠지만 경기 하향세가 여전한 가운데 이자가 더 오를 수 있다면 일정기간 조정을 거쳐 채권을 사려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화창증권 애널리스트 취칭(屈慶)은 "부동산은 채권시장의 '적'으로 정책 완화에 따라 부동산 또한 분명한 회복기에 접어들며 판매부터 최종적으로는 부동산 투자 회복을 가져올 것"이라며 "때문에 채권시장의 불마켓 기초가 철저하게 흔들리겠지만 향후 부동산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하락 조짐이 발견되면 그 때 채권매입을 늘려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