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기업형 임대주택 탄력받나…주택임대관리회사 급증

기사등록 : 2015-06-04 11: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지난 1년간 업체수 4.8배, 영업실적 2.9배 증가

[뉴스핌=김승현 기자] 주택임대관리회사가 지난 1년간 크게 늘며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주택임대관리회사는 임대주택 유지관리, 임대료 책정·징수, 홍보 등 종합 임대컨설팅과 청소·세탁 등 주거서비스를 제공한다. 

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주택임대관리업 등록업체는 144개, 업체 전체 영업실적은 8839호다. 도입 초기인 지난해 5월 30개, 2974호 규모에서 업체수는 4.8배, 실적은 2.9배 늘었다.

이는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정책 등 민간임대 활성화 정책에 따라 주택임대시장에 대한 업계의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결과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기업형 임대리츠는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 형태다. 따라서 임대 주택 관리를 위한 별도의 임대관리회사가 필요하다. 관리회사의 전문적 관리를 통해 공실위험, 임대료 연체와 같은 문제 해결이 가능해 임대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다.

실제 지난 5월 16일 입주가 시작된 ‘서울 동자동 트윈시티’는 주택임대관리회사 ‘에스원’이 576가구를 위탁받아 관리 중이다. 이 단지는 민간임대 리츠 1호다. 오는 2017년 6월 입주하는 뉴스테이 임대리츠 ‘서울 대림동해피투게더 스테이’도 ‘HTH’가 건설부터 임대관리까지 참여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144개 등록업체 중 실적이 있는 업체는 총 46개사다. 자기관리형 7곳, 위탁관리형 36곳, 병합형 3곳이다. 자기관리형은 공실, 임대료 체불 등 위험을 주택임대관리회사가 부담하고 임대인에게 고정액을 지급하는 형태다. 위탁관리형은 관리회사는 임대리스크를 부담하지 않고 매월 임대료의 일정비율을 수수료를 받는다.

이 중 의무등록 호수(자기관리형 100호, 위탁관리형 300호 이상)이상인 업체수가 3곳에서 14개로 늘었다. 관리규모의 대형화·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는 민간임대특별법과 세법 개정안 시행, 민간제안 임대리츠 활성화 등 뉴스테이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또 민간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관련 산업인 주택임대관리업의 활성화도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료=국토교통부>


[뉴스핌 Newspim] 김승현 기자 (kims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