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엔저 '아리가토'… 일본 상장사 이익 2분기 연속 최고치

기사등록 : 2015-06-17 18: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주주환원 확대·소비자극 등 경기회복 선순환 기대↑
[뉴스핌=배효진 기자] 일본 상장 기업의 경상이익이 2분기 연속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운 것으로 확인됐다. 엔화약세로 수출기업의 실적이 대폭 개선된 데 이어 관광객 유입 증가로 내수기업들도 덩달하 수혜를 본 영향이다.
도요타 로고 <출처=AP/뉴시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454개의 상장기업(금융권 제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분기 경상이익(단독기준)은 17조4297억엔(157조5436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에서 9% 늘어나면서 2분기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기간 세후이익(단독기준)은 12조4234억엔으로 8% 증가했다.

가장 큰 폭의 이익 증가세를 기록한 업체는 토요타 자동차다. 토요타의 1분기 경상이익은 2조1251억엔으로 전 분기보다 16% 늘어났다. 엔화 약세로 북미 지역 수출이 탄력을 받고 수익성이 개선된 영향이다. 자회사로부터 받은 배당금이 6804억엔으로 20% 증가한 점도 배경이다. 

닛산자동차와 후지중공업 등 엔화 약세 효과를 톡톡히 본 주요 수출기업들의 경상이익도 불어났다.

내수기업의 실적도 덩달아 개선됐다. 일본 이동통신업체 KDDI의 경상이익은 6354억엔으로 토요타의 뒤를 이었다. 일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동일본여객철도 등 관련 업체들의 이익도 크게 늘었다.

경상이익은 배당금과 임금 인상을 결정하는 기준이라는 점에서, 이 같은 기업실적 개선은 고무적이라는 반응이다. 주주와 직원에 늘어난 환원이 소비를 자극해 경기회복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기대할 수 있는 까닭이다.

실제 올해 춘투(임금협상)에서 일본철도그룹(JR) 산하 상장사 3사는 직원들의 기본급을 올리기로 결정한 바 있다. 13년 만에 최대폭의 임금 인상을 결정한 토요타를 필두로 한 자동차 업계도 임금 인상 행렬에 동참했다. 

세후이익의 증감은 기업의 배당 여력에 영향을 미친다. 배당이 이익 잉여금을 재원으로 책정되기 때문이다. 

자동차 업체 등 직전 분기에 배당 확대를 결정한 기업 대부분의 세후이익이 단독기준으로 늘어났었다. 그 결과, 지난해 일본 상장 기업의 배당 총액은 9조8000억엔(88조5800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