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보람 기자] 한국거래소가 최근 정부와 벤처업계 등이 주장하는 코스닥 분리 필요성에 대해 조목조목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상장 활성화 정책이 최근 순조롭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최근 일각의 코스닥 분리 주장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
최근 관련업계에선 코스닥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코스닥을 자회사 또는 독립회사로 분리하거나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코스닥을 분리하자는 쪽의 논리는 기업자금조달 및 상장활성화, 코스피 대비 코스닥의 경쟁력 확보 등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거래소 측은 18일 "상장활성화를 위해 코스닥 시장을 분리해야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우리는 이미 2013년 이후 정부의 모험자본활성화 정책에 부응해 기술력 있는 성장기업의 상장 기회를 대폭 확대시켜왔다"며 "지난해에는 68개사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고 올해는 130~150개 기업을 상장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미 상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상장활성화를 위한 코스닥분리'라는 논리가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거래소는 코스닥 벤처캐피탈(VC)업계의 주장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VC업계는 상장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고 거래소 통합 후 상장기준 강화로 상장이 부진해지면서 기업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졌다는 주장을 펼쳐왔다.
하지만 거래소측은 이들의 주장이 이미 시장 통합 이전인 지난 2000년대 초반 벤처버블 당시 진행됐다고 강조했다.
지난 2002년에는 자본잠식요건이 도입됐고 이듬해에는 감사의견 한정에서 적정으로 상장요건이 강화됐으나 오히려 통합 이후인 2005년부터는 부채비율요건 폐지와 기술성장기업 특례상장 제도 등 상장요건이 완화되고 기업 맞춤형 상장제도가 도입됐다는 게 거래소의 설명이다.
상장 기업 수 감소 역시 통합 이전 벤처버블 붕괴로 인한 결과이며 지난 2012년과 2013년 상장기업 수 감소에 대해서는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머물면서 낮은 공모가격이나 성장률 둔화로 상장이 줄어든 것이라고 풀이했다.
스타트업기업의 자본조달 활성화를 위해 상장 요건을 완화해야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일반 개인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장 기준을 무한정 낮출 수는 없다"며 "스타트업 기업의 회수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은 코넥스시장을 중심으로 논의돼야 할 부분"이라고 선을 그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이 코스피 2부 시장으로 전락했다는 주장 또한 근거없는 주장이라며 코스피 대비 시가총액 비중이 7% 수준이던 지난 2004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기술주 중심의 시장으로서 자리매김했다고 봤다.
아울러 코스닥시장을 분리할 경우 시장운영비용 조달 등 독자생존이 어렵다는 점도 강조했다. 코스닥시장 분리가 투자자에게 부담만 가중시킬 뿐 실효성이 없다는 얘기다.
거래소는 "대체거래시스템(ATS) 도입을 통한 경쟁환경 조성, 글로벌 거래소와의 경쟁 등 거래소 산업 전반을 고려한 구조개편 논의가 진행돼야 한다"며 "거래소 구조개편이 향후 거래소시장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사항임을 고려할 때 지주회사제 전환 및 IPO를 동시에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