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한화證 "거래소 '상장'이 지배구조 개편 선행과제"

기사등록 : 2015-06-18 15:0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거래소 효율화 핵심이슈는 '상장'"

[뉴스핌=우동환 기자] 한국거래소의 지배구조 개편 논란에 대해 한화투자증권이 답보상태에 있는 거래소 상장 문제를 먼저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박성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8일 보고서를 통해 "한화투자증권을 포함한 증권업계의 입장에서 한국거래소(KRX)의 상장 문제를 다시 논의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우리는 답보 상태에 있는 거래소의 상장에 대한 논의에 다시 불을 붙이려고 한다"며 "그것이 거래소 효율화의 핵심 이슈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 주요 거래소들이 주식회사 전환 및 상장을 통해 민영화, 시장간 통합·연계 IT 플랫폼 구축의 순서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며 "하지만 거래소는 2000년대 후반 상장 시도에 실패한 뒤로 이런 흐름에 동떨어진 채 날로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최근 거래소 효율화 방안으로 내놓은 코스닥 분리, 대체시장 도입, 지주회사 체제 전환 등의 방안에 대해 "우물 안 개구리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 연구원은 "정부가 제시한 방안은 서로 경쟁하는 환경을 조성하면 자연스럽게 체질이 개선될 것이라는 논리에 입각한 카드"라며 "하지만 우리 거래소가 경쟁해야 할 대상은 해외 거래소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동안 거래소 상장 논의에서 핵심 쟁점으로 부각됐던 공공성과 자금조달 문제는 유효하지 않은 논리가 됐다는 지적이다.

박 연구원은 "지금 거래소에 필요한 것은 대규모 자금이 아닌 자금 융통성"이라고 주장했다.

해외 거래소들의 경우 언제든지 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증거금을 제외한 순수 유동성은 그리 많지 않다는 설명이다. 한국거래소 역시 상장하면 현금정책을 보다 탄력적으로 가져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더불어 박 연구원은 "해외 상장 거래소의 경우 주주와 투자자들은 애널리스트들이 쓴 리포트를 제공받고 있다"며 "우리 거래소도 상장 기업으로 애널리스트들의 리포트 등을 통해 제대로 평가받을 때 효율성 강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그는 "과거부터 거래소 상장 및 구조조정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정부 대 거래소의 양자구도로 진행돼 왔다"며 "법이 뒷받침하는 정부의 지배력이 절대적이었기 때문이지만, 주주가 논의에서 소외되거나 스스로가 논의에 적극적이지 못한 것은 문제"라며 증권사를 비롯해  기존 주주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슈에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뉴스핌 Newspim] 우동환 기자 (redwax76@gmail.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