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노키아 모토롤라이어 HTC도 중국서 휘청, 삼성은?

기사등록 : 2015-07-01 10:3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000위안 이하 출시 가격 파괴 가열, 기능은 비슷 비슷

 [편집자주] 이 기사는 6월 24일 17시 34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베이징= 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단계에 진입하면서 판매량 증대를 위한 로컬 업체들의 가격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1000위안(한화 약 18만원)에도 못 미치지는 저가 가격 공세에 타이완 전통 브랜드 생산업체인 HTC는 생사의 기로에 놓였고, 삼성의 아성 또한 흔들리고 있다.

◆ 가격 경쟁 '점입가경', 우위 선점·재고량 증가가 원인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가격 경쟁은 지난해 중반부터 가시화 했다. 전통 휴대폰 생산업체들마다 스마트폰, 특히 1000위안대의 저가 시장에 눈독을 들이기 시작한 것이 '가격대전'의 서막을 알렸다.

인터넷 스트리밍 업체 러스왕(LeTV 樂視網)은 스마트폰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지난 5월부터 'Le 1'과 'Le 프로' 예약판매를 시작했다. 그리고 지난달 5일 러스상청(樂視商城, Le mall)을 통해 예약판매가 시작한지 불과 5시간 만에 120만 명이 구매 예약을 했고, 하루 뒤인 6일 기준으로는 예약판매량이 263만 대를 돌파했다. 당초 러스왕은 Le 1 19만대와 Le 프로 1만 대 등 총 20만 대의 물량을 준비했으나 예상치 못한 주문량에 경쟁률이 6:1에 달했다.

기본형 모델인 Le 1의 가격은 1499위안, LG 전자의 G4와 비슷한 스펙을 가진 Le 프로는 2499위안으로 책정됐다.

이달 2일에는 알리바바의 투자를 유지한 중국 로컬 스마트폰 제조업체 메이주(Meizu,魅族)가 단 799 위안에 대형 패널을 자랑하는 메이란(魅藍) Note2를 출시, 두 번에 걸친 예약판매기간 동안 25만 대가 팔려나갔다.

8일에는 중국 로컬 강자 샤오미(小米)가 훙미(紅米)2A 가격을 종전의 599위안에서 499위안으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샤오미는 그러면서 10일 내 훙미2A를 구입했던 고객에게는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100위안짜리 상품권을 제공, 차액을 보상한다고 밝혔다. 훙미2A 가격 인하 첫 날, 판매량은 20만 대를 훌쩍 넘어섰다.

샤오미의 훙미2A 가격 인하 소식이 전해지자 이번에는 스마트폰 업체 쿨패드(酷派)와 협력을 맺은 중국 제2대 검색엔진이자 중국 최대 인터넷 백신 개발업체 360이 쿨패드 스마트폰 다젠(DAZEN, 大神) F1 플러스 가격을 399위안으로 내린다고 선언했다. 

저우훙이(周鴻祎) 360 회장은 "399 위안은 '무적(無敵)의 가격'"이라며 "샤오미가 스마트폰 보급에 기여했다면, 지금부터는 다젠이 샤오미를 대체해 더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우 회장은 또 "가격을 399위안으로 인하한 데 대해 후회하지 않고, 오히려 360위안까지 내리지 못 한 것이 후회"라며 "다젠이 자신에게 냉정한 만큼 고객에게는 더욱 좋은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360이 11일 치쿠왕(奇酷網)을 통해 다젠 F1과 F1 플러스 판매를 개시한 지 18분 만에 30만대가 팔린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16일 기준 다젠 F1과 F1 플러스 누적 판매량은 60만 대를 넘어섰다고 천진일보(天津日報)가 전했다.

12일에는 샤오미가 다시 한번 반격을 개시했다. Note 4 가격을 699위안으로 낮춘다고 밝힌 것.

이밖에 레노버(Lenovo, 聯想)는 16일 러멍(樂檬)K3 판매가를 499위안에 출시했고, 타이완(臺灣) 업체인 TCL은 중국전신(中國電信)과 손을 잡고 베이징에서 신제품 '러완(樂玩)' 발표회를 가졌다. TCL은 신제품 발표회 현장에서 499위안에 예약주문을 받았으며, 정식 판매가는 599위안으로 책정됐다.

중국 로컬 스마트폰 업체간의 가격 경쟁은 일찌감치 예고되었다. 중소형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가운데 스마트폰 시장이 점차 포화상태에 빠지고 기술혁신이 점차 난관에 부딪치면서 올해 중국 로컬 스마트폰 업계가 대대적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 바 있다.

실제로 인민망(人民網)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스마트폰 사용자는 5억 명에 달했으며, 스마트폰 생산량은 4억2000만 대로 전년 대비 19.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휴대전화 보급률은 95%, 이 중 스마트폰 보급률은 55.3%를 차지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공업 및 정보화부(공신부) 데이터로는, 2014년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 수는 500개를 넘어섰으나 올해는 100여 개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산업연구기관 중연보화(中研普華) 애널리스트는 "가격 전쟁에서 스스로 벗어나지 못한다면 분명 업계에서 도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천진일보는 한 업계 전문가를 인용, 스마트폰 업계의 가격전쟁이 가열되고 있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바로 과잉생산으로 인한 재고처리에 있다고 보도했다. 이 전문가는 "과거에도 휴대폰 제조업체의 프로모션 행사 등은 재고 해소와 관계가 있고, 샤오미도 예외가 아니다"며 "연초 중국 휴대폰 시장을 낙관한 샤오미는 1억 대 판매 목표를 세웠지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결국 재고 부담만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 HTC의 몰락, 삼성 아성도 '흔들'

PC·모바일 전문 생산업체로 명성을 쌓아온 HTC는 사상 최대 위기에 빠졌다. 새로운 경쟁상대의 등장에 실적은 바닥을 치고 주가가 하락하더니 완제품 재고율이 2.35%에 달한다는 소식이 터져나왔고, 최근에는 아수스(ASUS)와 샤오미 등에 인수합병된다는 소문까지 확대되고 있다.

왕쉐훙(王雪紅) HTC 회장은 항간의 M&A 추측을 강하게 부인했지만, 지금의 위기를 타개할 만한 방법을 찾기 힘들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왕쉐훙 회장은 한 때 "휴대폰 제조업체가 2 개만 남는다면, 그 중 1개는 HTC일 것"이라고 단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달 2일 열린 주주총회에서 왕 회장은 초라한 실적과 주가에 머리를 숙여야 했다.

중국경영보(中國經營報)가 인용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4월 THC의 영업수입은 4억3995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5억1924만 달러 대비 38.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달인 3월의 6억5244만 달러 대비로는 32.26% 줄어든 수치다. 

특히 HTC가 야심작으로 내세웠던 스마트폰 HTC One M9 판매량은 불과 475만 대에 그쳤고, 주주총회 1일 전 HTC 주가는 13년래 최저치인 100 대만달러 아래로 하락하는 등 악재가 끊이지 않았다.

1세대 스마트폰 제조업체로 승승장구하던 HTC의 쇠퇴는 2011년부터 시작되었다. 애플과의 특허권 소송 패배로 일부 모델의 미국 내 판매가 금지된 이후 미국에서는 물론, 유럽에서도 설자리를 잃었다. 구미시장에서 사실상 실패한 HTC는 그제서야 중국 시장에 눈을 돌렸지만, 당시는 샤오미의 M1 등 저가 경쟁력을 내세운 중국 로컬 휴대폰들이 부상하던 때로 HTC는 시장의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한 채 2014년이 되서야 저가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실제로 신제품인 HTC 플래그쉽의 판매가는 여전히 4000위안대에 머물러 있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M8의 판매가도 2799 위안, 저가형 모델인 디자이어(Desire) 가격도 1000-2000위안 수준이다. 샤오미나 기타 로컬 브랜드 판매가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다.

중국 이동통신 시장 분석기관 아이메이 리서치(艾媒咨詢) 장이(張毅) CEO는 "중국에서는 1600위안 이상의 휴대폰은 모두 중고급형 휴대폰으로 분류되고, 현재 해당 시장이 포화상태에 다달았다"며 "중국 1·2선 도시 휴대폰 이용자들이 대부분 중고급형 휴대폰을 쓰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4-5년 전에는 휴대폰 교환 주기가 빨랐지만, 앞으로 점차 기술적 돌파구를 찾기가 힘들고 기능 면에서도 차이가 좁아지면서 휴대폰 교체 주기도 늘어날 것"이라며 "HTC는  아직 포화도가 높은 중고급 시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브랜드와 체면 등을 중요하게 여기는 중고급 소비자의 경우 애플 아이폰을 선택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HTC뿐만 아니라 글로벌 스마트폰 강자인 삼성의 입지도 크게 흔들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의 16일 발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12년 이후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줄곧 1위를 차지했으나, 2014년 3분기에 처음으로 샤오미에 '왕좌'를 내줬다. 이어 4분기에는 애플에 2위 자리를 내주며 3위로 밀려났고, 심지어 올해 1분기에는 시장점유율이 9.9%까지 떨어지며 화웨이에 이어 4위로 내려 앉았다. 

이에 관해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 로컬기업이 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는 반면, 삼성전자는 고가 이미지만을 내세우면서 가격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분석했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