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30대그룹 계열사 절반, 임금피크제 도입…56세부터 적용 다수

기사등록 : 2015-07-01 21: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미도입 계열사도 제도 도입 검토중"

[뉴스핌=고종민 기자] 30대 그룹 계열사의 절반 가량이 이미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고용노동부는 자산총액 기준 상위 30대 그룹 주요 계열사를 조사한 결과, 378개 기업 중 177개(47%)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아직 도입하지 않은 그룹 계열사도 내년 정년 60세 의무화를 맞아 임금피크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자산총액 기준 1∼15위 그룹(삼성·현대차·SK·LG·롯데·포스코·현대중공업·GS·농협·한진·한화·KT·두산·신세계·CJ)은 계열사 275개 중 55%(151개)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16∼30위 그룹(LS·대우조선해양·금호아시아나·동부·대림·부영·현대·OCI·한국수자원공사·한국도로공사·한국전력공사·한국철도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한국가스공사·한국석유공사)은 계열사 103개 중 25%(26개)가 적용했다.

임금피크제에 들어가는 직원의 임금이 감액되기 시작하는 연령을 보면 56세가 3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58세(29.2%), 57세(16.7%), 59세(12.5%) 순이다. 조사 결과는 30대 그룹 주력기업(각 그룹별 2∼3개, 총 48개)을 대상으로 분석한 내용이다.

연령별 감액비율의 경우 56세는 10%, 57세 19%, 58세 27%, 59세 34%, 60세 40%를 적용하는 기업이 많았다.

아울러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사무직뿐 아니라 생산직(기술직)에도 임금피크제를 적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각 그룹사별로 보면 계열사별 시행 시기가 갈렸다.

삼성그룹은 전 계열사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키로 지난해 노사가 합의했으며, 2017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LG·롯데·포스코·GS그룹은 주요 계열사에서 이미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고 있다. 아직 도입하지 않은 일부 계열사도 올해 하반기나 내년 이후 도입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각 계열사의 상황을 고려해 계열사별로 임금피크제 도입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대부분의 계열사가 사실상 정년 60세를 시행하고 있다. 임금피크제 적용 후 근로자 임금은 10∼30% 수준에서 감액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법시행 이전에 정년을 60세로 조기연장(2015년 3월)하고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30대 그룹 내 7개 공공기관의 경우 5개 기관(한국수자원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임무송 고용부 노사협력정책관은 "30대 그룹 계열사들의 임금피크제 도입에 상당한 진전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청년들의 취업난 완화를 위해 더욱 적극적인 도입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고종민 기자 (kj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