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증시대폭락] 27일 중국 A주를 울린 6대악재

기사등록 : 2015-07-27 17:2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IMF권고 미국금리 돼지고기값상승 차익실현이 폭락 주도

[뉴스핌=강소영 기자] 27일 중국 증시는 6대 악재의 '집중포화'에 폭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8.48%나 급락하며 3800포인트를 내주고 말았다. 단일 낙폭으로 8년만의 최대치이며 A주 역사상 네 번째로 큰 하락폭이다.

A주는 지난주 23일까지 연속 6일 상승세를 이어가며  상승장 재연에 대한 기대감이 높였다. 그러나 24일 반락장에 이어 27일 대폭락장을 연출하면서 중국 증시는 다시금 한치앞을 내다볼수 없는  안갯속에 휩싸였다.

이날 중국증시  '블랙먼데이'를 유발한 6대 악재는 ▲ IMF(국제통화기금)의 중국 정부 증시 개입 중단 요구 ▲ 미국 금리 인상 전망 강화 ▲ 돼지고기 가격 급등에 따른 CPI 상승률 급등 우려 ▲ 7월 차이신 제조업 PMI 악화 ▲ 상한가 종목 투자자의 차익실현 매도 물량 급증 ▲  거래중단 주식의 거래재개다.

24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IMF는 중국 정부가 최근 증시 급락 방어를 위해 취한 부양책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IMF는 극심한 시장 혼란을 막기 위한 당국의 개입이 필요하긴 하지만, 가격은 시장에서 결정돼야 한다는 뜻을 중국에 전달했다.

이 소식은 중국 주식투자자의 불안 심리에 불을 지핀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아도 정부의 증시 안정화 자금 회수 소식이 전해진 터라 투자 심리는 매우 취약한 상태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20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증권사를 소집해 증시 안정화 자금 회수 방안을 논의했다. 

관련 소식이 전해진 후 주가지수가 급락하는 등 시장이 극심한 불안감을 보이자 증감회는 해당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그러나 증시 ′구제′ 과정에서 쏟아부은 자금을 정부가 언젠가는 나서 정리를 해야 할 것이라는 사실에 불안 심리는 완전히 가시지 않았다.

상한가 종목을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진 것도 주가 폭락을 부추겼다. 지난주 반등장세 속에서 상당수 주식이 상한가를 기록하면서 50% 이상의 수익률을 실현한 투자자가 적지 않았다. 저가매수에 성공한 투기자금이 한꺼번에 주식을 내다 팔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게 됐다.

살아나지 않은 제조업 경기도 증시의 발목을 잡았다. 24일 중국 재신망(차이신왕)과 영국 시장조사업체 마킷(Markit)이 공동으로 집계한 중국의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잠정치는 15개월래 최저 수준인 48.2로 집계됐다. 이는  경제전문가들 컨센서스 49.7(로이터 조사)보다 크게 낮은 결과다.

중국 매체들이 지속해서 보도하고 있는 돼지고기 가격 상승 문제도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 중국 물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하면서, 하반기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3%대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만약 이런 가정이 현실화되면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에서 긴축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이 밖에 미국 금리 인상 전망에 따른 외자유출 가속화 우려, 거래중단 주식의 거래 재개에 따른 물량 부담도 폭락장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