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금융위, 대우증권 매각 지침 전달…현대증권과 별개 추진

기사등록 : 2015-08-13 15:3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산은, 이사회 거쳐 이달 마지막 주쯤 발표
[뉴스핌=노희준 기자] 금융당국이 KDB대우증권 매각 쟁점을 정리한 가이드라인을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에 최근 전달했다. 산은은 이사회를 거쳐 이달 마지막 주께 매각 방침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 방식은 자산운용 하나만 묶어 파는 패키지 매각이고 매각 지분은 '전량 매각 원칙에 30% 부분매각 병행 추진'이다. 특히 현대증권 대주주 적격성 심사와 상관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2015년 3월 말 기준
복수의 금융위 관계자는 13일 "산은에 (매각 관련) 가이드라인을 줬다"며 "산은이 이사회를 거쳐 이달 말에는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일단 대우증권과 자산운용만의 패키지 매각 추진 방침을 전달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자산운용은 어차피 같이 가야 하고 캐피탈은 떼는 게 맞고 생명은 주주가 다르니까 더 멀다"며 "그런 상황에서 산은이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은은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증권(43.00%) 외에도 산은캐피탈(99.92%), 산은자산운용(100%)을 자회사로 직접 소유하고 있다. KDB생명은 케이디비칸서스밸류(85.05%)라는 산은이 만든 사모펀드(PEF)를 통해 갖고 있다. 

이는 대우증권 시가총액이 오른 상황에서 매수자의 가격 부담을 덜어주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대우증권은 최근 주가가 다소 주춤하지만, 이날 종가가 1만2950원으로 산은 지분가격은 1조8000억대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웃돈) 30%를 더하면 2조3400억대로 뛰기 때문에 6000억원대로 평가되는 캐피탈을 묶어 팔기에는 만만치 않다는 평가다.

금융위는 또 매각 지분은 우선 '전량 매각을 추진하되 30% 부분매각을 병행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고위 관계자는 "최선을 다해 다 파는 게 원칙"이라면서도 "시장 상황에 따라 안 되는 경우는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일단 증권(43.00%)과 자산운용(100%)지분을 다 파는 것을 원칙으로 해 추진하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유력한 잠재 매수자로 거론되는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 편입에 필요한 최소 지분인 30%만 매각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는 얘기다. 

금융위는 또 현대증권 대주주 적격성 심사와 별개로 대우증권 매각을 추진키로 했다. 산업은행은 현대증권 매각 작업이 마무리돼야 대우증권 매각 작업에 착수한다고 알려졌지만, 금융위는 별개로 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산업은행은 현대그룹 구조조정 과정에서 주채권은행으로 현대증권 매각을 주도하고 있다. 

금융위 또 다른 관계자는 "현대증권 딜이 진행 중이면 현대증권 매각을 먼저 마무리하는 게 맞는 얘기지만 이미 현대증권 딜은 끝나고 대주주 변경만 남은 것"이라며 "그럴 필요 없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현대증권의 오릭스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8월 말이나 9월 초에는 처리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8월 말이나 9월 초에는 결론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이달 중에 이사회는 반기 재무제표를 확정해야 하기에 열릴 예정"이라면서 "이사회 날짜와 안건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우증권 최종 매각 공고는 자문사 선정 과정을 거쳐 시장 상황을 고려해 최종 결정, 발표된다.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