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승환 기자] 지난 2분기 개선 조짐을 보이던 중국 내 은행의 외환결제 적자 규모가 지난 7월 다시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자금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동시에 외국환평형기금 감소추세도 지속되고 있어 인민은행이 9월께 지급준비율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중국 제일재경은 국가외환관리국이 지난 18일 발표한 7월 외환 통계를 인용해 중국 내 은행의 외환결제가 2655억위안 적자를 기록, 적자폭이 사상 최대 수준을 나타냈다고 19일 전했다. 지난 6월 129억 흑자를 기록한 이후 한달 새 2784억위안이 감소한 것.
고객 위탁 외환결제와 은행 자체 외환결제의 적자 규모가 각각 1743억위안, 912억위안을 나타냈다. 지난 1~7월 은행의 누적 외환결제 적자는 9129억위안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인민은행과 금융기관이 집계한 외국환평형기금 감소 규모도 각각 3080억위안, 2491억위안으로 집계됐다. 외국환평형기금 감소 규모 역시 사상 최대 수준이다.
중국 금융업계 전문가들은 이 같은 추세가 7월 외환시장 수급 악화와 대외자본유출 압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금융 기관의 한 관계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인상 시점이 임박한 가운데 자금 유출 리스크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동시에 A주 조정 장기화로 투자자들이 자산분배 조정에 나선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제일재경은 원빈 민생은행수석연구원을 인용 “역외는 물론 역내 위안화 환율 상승에 대한 시장의 공통된 인식이 나타나면서 일부 기업과 투자자들이 자산 대차대조표를 새롭게 조정한 것이 7월 외환결제 적자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중국 역내 은행의 해외 외환 위탁 매매 결제도 129억위안 유출을 기록, 흑자를 기록했던 전달 대비 1621억위안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무역서비스와 유가증권이 각각 980억위안, 289억위안 순유출을 기록했다. 지난 5~6월 순유입을 기록했던 점을 감안하면, A주 조정이 장기화되면서 자급 유입 요인이 약화됐음을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셰야쉔 초상증권 수석연구원은 기업과 투자자들의 외환구매 수요가 대폭 증가한 반면, 외환 결제는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초상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7월 외환 구매 수요는 58%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2012년 유럽부채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반면 결제 수요는 전달대비 5%포인트 하락한 52%를 기록, 사상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원빈 수석연구원은 “만약 매수된 외환이 중국 내에 머물러 있다면, 이론상으로 외환예금이 늘어야 하지만 7월에는 오히려 감소했다”며 “주가폭락으로 인한 투자자들의 단기적인 자본 유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8월에도 외국환평형기금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민은행은 지난 11일 위안화 고시 환율을 대폭 상향 조정(평가 절하)했다. 이후 위안화 가치는 3%넘게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위안화 평가절하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위안화 약세 압력을 일정 부분 완화하기 위한 일회성 선제조치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8월 외환평형기금 감소 추세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인민은행의 지준율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전망이다.
리치린 민생증권 연구원은 “일회성 위안화 평가절하가 중장기적으로는 위안화 평가 절하 압력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는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양질의 위안화 자산을 만들어 외환 외에도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책당국이 단기적으로는 지준율 인하를 통해 외환평형기금 감소분을 보충하고, 중기적으로는 안정적이고 고수익이 보장되는 우량 자산을 조성하고, 장기적으로는 주식등록제와 자본시장 개혁을 통해 부의 창출효과를 최대화 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셰야쉔 연구원도 인민은행이 대대적인 위안화 환율 결정 시스템 개선에 나선 가운데 8월 외국환평형기금 감소추세 지속으로 유동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면, 지준율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원빈 수석연구원은 “지준율 인하 외에도 MLF, SLF 등 통화조절 수단을 통해 금융기관의 실물경제 지지효과를 확대하고 나설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