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정연주 기자] 메르스 여파에 타격을 받았던 서비스업종들이 7월초부터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소매점 매출 등이 전년 수준을 회복했다. 다만 외국인 관광객 감소세가 지속돼 관련된 호텔 등의 업황은 여전히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한은은 '지역경제보고서(2015년 8월, 이하 골든북)'에서 "메르스 발생 이후 크게 악화됐던 서비스업황은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은 7월초부터 회복됐으며, 8월에는 대형소매점 매출, 여가서비스 이용객 수 등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외국인 관광객의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어 외국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가, 호텔, 면세점 등은 업황 부진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자료제공=한국은행> |
대형소매점의 경우 6월 상반월에 대형마트 매출이 14.5%(전년동기대비), 백화점 매출은 11.7% 감소했으나 7월 들어서는 감소폭이 빠르게 축소됐으며 8월에는 백화점 매출이 증가하고 대형마트 매출도 예년 수준을 회복했다.
메르스가 확산되는 기간 동안 대형소매점 매출은 줄었으나 동네 슈퍼마켓, 편의점과 인터넷 쇼핑 등의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상가지역의 매출은 8월 들어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그 폭은 축소됐다.
6~7월중 외국인 관광객 급감으로 서울 도심의 주요 상점가(명동, 동대문 등)의 매출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동대문의 의류도매상가, 명동의 화장품 매장 등의 경우 6~7월중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60~70% 정도 줄었으며 제주권의 경우에도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로 지하상가 등 주요 쇼핑지구의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
장한철 한은 지역협력실장은 "업소 상인들은 중국의 명절 연휴가 시작되고 국내 관광업계의 할인행사 등 프로모션 효과가 나타나는 9월말 이후 매출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했다.
프로야구나 영화관람 등의 여가서비스업 이용객도 다시 증가해 메르스 발생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했다. 프로야구 입장객수는 6월중 급감했다가 7월 이후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영화 관람객수도 7월중 인기작품이 개봉되면서 5월 수준을 상회했다.
다만 외국인관광객 수가 6월중 중국인을 중심으로 41% 감소해 7월중에는 감소폭이 53.5%로 확대되고 있어 관련 업종의 부진은 여전했다. 올해 1~5월중 전년동기대비 10.7% 증가했던 외국인 관광객 수는 6월 급감한데 이어 8월들어서도 32%(1~20일중) 줄었다.
대부분 회복세를 보였던 여가서비스업 중 놀이공원 업종이 외국인 관광객 수 감소의 영향을 받고 있다. 입장객 수를 보면 7월 하반월부터 감소폭이 축소되고 있으나 중국인 등 외국인 방문객 수 회복 지연으로 예년의 70~80% 수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면세점의 경우 6월중 매출이 전월대비 41%나 급감하고 구매인원도 28% 줄었다. 신규 환자가 발생하지 않은 7월 첫 주를 저점으로 매출액이 늘었지만 메르스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외국인 구매비중이 높은 시내 소재 면세점이 출국장 면세점 보다 매출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
숙박업도 내국인 이용비중이 높은 강원·제주권의 콘도미니엄 및 펜션의 업황은 7월 이후 빠르게 회복되는 반면 외국인 단체 관광객의 숙박비중이 높은 일부 호텔의 경우 6∼7월중 객실 점유율이 대폭 하락하고 매출도 60% 이상 급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음식업도 내국인 이용비중이 높은 업소는 회복세를 보였으나 수도권과 제주권의 외국인 이용이 높은 음식점은 8월에도 부진했다.
장 실장은 "외국인 관광객 모집부터 실제 방한까지 걸리는 시간이 2~3개월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외국인 관광객 수가 종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주 : 1) 제조업생산 모니터링지수와 서비스업생산 모니터링지수를 GRDP 각 업종 부가가치 비중으로 가중평균하여 구한 종합 모니터링지수를 근거로 평가함 <자료제공=한국은행> |
한편 골든북은 올해 7~8월중 국내 경기가 2015년 5월중 발생한 메르스의 충격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동남권과 충청권의 생산이 보합 내지 소폭 감소에서 소폭 증가로 개선됐고 2분기중 생산이 소폭 감소했던 대경권과 제주권은 7∼8월 들어 보합수준을 나타냈다.
장 실장은 "향후 국내 경기는 개선 흐름을 나타낼 것이나 중국경제 성장둔화와 주력 생산품의 경쟁력 약화 등으로 그 속도는 완만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정연주 기자 (jyj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