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개성공단 전면중단] 청와대 "국민 안전귀환 조치 신속히 추진"

기사등록 : 2016-02-11 09:2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남북 간 철수절차 등 협의 시작…철수과정 관리 상황대책본부 개설

[뉴스핌=이영태 기자] 청와대는 11일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제재조치인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과 관련해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위한 모든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개성공단 내 입주기업 근로자들의 무사 귀환을 위한 대책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 대변인은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중단 조치가 지난 2013년 공단 재가동시 어떠한 경우에도 공단을 운영하겠다던 남북합의를 위반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어제 통일부에서 아주 자세하게 설명했기 때문에 더 언급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개성공단 외에 추가적인 대북 제재 카드가 있느냐는 질문에도 "(개성공단과 관련된 문제는) 더 말씀드릴 것이 없다"고만 했다.

정부는 10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에 대응해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키로 결정했다.<사진=뉴시스>

한편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 결정에 따라 공단 내 남측 인원과 자재, 장비의 철수 절차가 이날부터 시작된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부터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에서 개성공단 출입경이 시작된다. 현재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은 184명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124개사 중 53개사는 설 연휴 등으로 현재 개성공단에 체류 중인 직원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오늘 개성공단으로 출경할 예정이었던 인원은 1084명이지만, 체류 중인 직원이 없는 53개사 위주로 올려보내 철수를 준비하게 하고 나머지는 출경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와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간에 개성공단 철수와 관련된 협의도 이날 시작될 예정이다.

개성공단 내 남측 자재와 장비, 완제품 반출 문제와 개성공단 단전·단수 문제를 놓고 양측이 갈등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기본원칙은 각 기업의 설비와 자재, 보관 중인 완제품을 모두 철수시킨다는 것이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북측과 협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위기관리매뉴얼에 따라 단전·단수 등의 후속조치를 준비하는 한편, 체류중인 국민의 귀환 과정과 입주 기업 피해 지원을 위해 개성공단 상황대책본부를 개설하고 철수 과정을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 정부합동대책반 회의서 실무대책 논의

정부는 또 이날 서울청사에서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행정자치부·국토교통부 차관, 중소기업청장 등 관계부처 차관이 참석하는 정부합동대책반 회의를 열고 실무대책을 점검한다.

정부합동대책반은 남북경협 보험금 지급, 협력기금 특별대출 등 재정적 지원과 함께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산업‧고용분야 지원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