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전세계 중앙은행들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이것이 중앙은행들의 기대처럼 일반 대중들의 소비지출을 늘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유로화<사진=블룸버그통신> |
16일(현지시간) ING에 따르면 이 은행이 유럽과 미국, 아시아의 1만300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분의 3 이상이 마이너스 금리 환경에선 은행 예금을 일부 인출하겠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 중 3분의 1은 이를 지출하기 보단 안전한 곳에 보관하겠다고 응답했다.
덴마크와 유로존, 스웨덴, 스위스에 이어 일본의 중앙은행까지 경기를 부양하고 낮은 물가를 끌어올리기 위해 금리를 제로 밑으로 떨어뜨리면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은 중앙은행의 경기 부양 수단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추세다.
이 정책이 빛을 보려면 가계와 기업이 지출과 투자를 늘려야 한다. 금리를 마이너스로 떨어뜨림으로써 중앙은행들은 은행에 돈을 예치하는 것에 대해 이자 지급 대신 비용을 부과해 시중에 유동성이 풀리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ING의 설문조사 참가자 중에서 중앙은행의 바람대로 저축액에서 지출을 늘리겠다고 답한 응답자는 10%에 불과했다.
더욱이 11%의 응답자는 낮은 금리를 보상하기 위해 오히려 저축을 늘리겠다고 답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마이너스 금리의 실효성을 놓고 여전히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ING의 마크 클리페 글로벌 마켓 리서치 헤드는 "은행이나 중앙은행보단 금고 제조업자한테 좋은 소식"이라면서 "설문조사 결과는 제로(0) (금리가) 저축자들에게 심리적 장벽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일본 종합무역상사 기업인 이토추의 다케타 아츠시 전략가는 "소비자들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받고 있다"며 "가계는 지출을 유예하며 방어적으로 행동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마이너스 금리가 자국 통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지출이나 차입을 늘려 부양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따라서 덴마크, 스위스와는 달리 유로존과 스웨덴, 일본에선 이 정책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노르디아의 헬게 페데르센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마이너스 금리는 한 나라의 통화를 약화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차입을 증가시키진 않는다"면서 "덴마크에서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유용했던 것은 덴마크 중앙은행의 목적이 환율정책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김민정 특파원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