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인영 기자] 박정원 두산 회장이 두산그룹 회장을 맡는다. 이로써 두산은 가족 경영의 전통을 유지함과 동시에 4세 경영시대를 맞게 됐다.
<그래픽=뉴스핌> |
2일 박용만 회장은 신임 두산그룹 회장에 조카 박정원 회장을 추천했다. 박정원 회장은 박승직 두산그룹 창업주의 첫 손자인 박용곤 두산 명예회장의 장남이다.
두산은 1896년 박승직 두산그룹 창업주 시절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1896년 8월 1일 지금의 서울 종로4가 배오개에 두산의 모체인 박승직상점을 열었다. 1915년엔 화장품인 박가분을 만들어 팔기 시작했으며 1925년에는 회계처리가 근대화되면서 주식회사 박승직상점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36년 박승직 창업주는 아들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 회장에게 경영을 물려줬다. 박두병 회장은 박승직상점을 계승해 두산상회(현 두산 글로넷)를 설립했다.
다음해인 1952년엔 미쓰비시그룹이 경영하던 소화기린맥주회사를 인수해 동양맥주(현 OB맥주)로 키워냈다. 이후 두산산업, 동산토건(현 두산건설) 등을 설립해 두산그룹의 터전을 닦았고 1960년에는 합동통신(연합뉴스 전신)을 인수하면서 언론계에도 진출했다.
박용오 회장은 박두병 초대 회장의 6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경기고, 뉴욕대를 졸업한 뒤 1965년에 두산산업에 입사했으며 1996년부터 두산그룹 회장에 오르며 경영전반을 진두지휘했다.
2005년 박용오 당시 그룹회장이 동생 박용성씨에게 회장직을 넘겨줄 때만 하더라도 형제 승계를 통한 가족경영의 좋은 사례로 손꼽혔다.
그러나 불과 며칠 뒤 박용오 회장이 두산의 경영현황을 비방하는 투서를 검찰에 제출함으로서 이른바 '형제의 난'이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분식회계 등 오너 일가의 치부가 드러나 국내외적으로 충격을 안겼다.
경영권 다툼으로 형제들을 고발한 박용오는 이후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2009년 11월 4일 자택에서 향년 72세의 나이로 자살했다.
2005년 박용성 회장이 두산그룹 회장에 오른 뒤 2009년에는 박두병 초대 회장의 사남인 박용현 회장이 2012년까지 두산 회장직을 지냈고, 형의 뒤를 이어 2016년 3월 최근까지 박용만 회장이 약 5년간 두산을 이끌면서 형제 경영을 지속해왔다.
박용만 회장은 2일 열린 이사회에서 조카인 박정원 두산 회장을 천거했으며, 박정원 회장은 오는 25일 두산 정기주총에 이은 이사회에서 의장 선임절차를 거친 뒤 그룹회장으로 정식 취임할 예정이다.
박용만 회장은 앞으로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으로서 두산인프라코어 턴어라운드에 힘을 보태는 한편, 두산 인재양성 강화 등을 위해 설립된 DLI의 회장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또한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으로서 소임을 다하는 데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박정원 회장은 사원에서부터 시작해 지난 30여 년 동안 두산그룹의 변화와 성장에 기여하면서 준비된 리더로 자리매김 해왔다.
특히 2007년 두산 부회장, 2012년 두산 지주부문 회장을 맡으면서 두산그룹의 주요 인수합병(M&A)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한편, 턴어라운드 기반을 마련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일에 핵심 역할을 해왔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