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최공필 "핀테크는 금융사가 정부 주도 벗어나려는 의지 필요"

기사등록 : 2016-03-16 14:3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인터뷰] 금융연구원 산하 미래금융연구센터장 중책 맡아

[뉴스핌=김지유 기자] "핀테크 강국인 영국 정부는 시장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민간을 어떻게 설득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어요. 영국처럼 민간 중심의 콜렉티브(공동의·collective)로 가야 합니다."

핀테크,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금융 트렌드를 위해 한국금융연구원이 미래금융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설립을 주도하며 센터장을 맡게 된 이는 최공필 상임자문위원.

최공필 금융연구원 상임자문위원 <사진=금융연구원>

최 위원은 연구센터 설립일인 지난 1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 금융연구원에서 뉴스핌과 만나 "핀테크는 어디든 정부가 민간 스스로 해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 내야 한다"고 운을 띄었다.

한국의 핀테크는 영국을 표방하면서도 정부 의존도가 크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민간이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 위원은 "(정부 주도의)낡은 시스템을 깨고 민간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센터를 설립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는 "연구센터를 통해 장단기 전략수립에 필요한 기술과 환경요인을 연구하고 다양한 참여자들과 공유하겠다"며 "국내외 외부전문가를 위촉해 연구풀로 활용하면서 관련 생태계를 키워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핀테크 성공을 위해서 금융사 스스로 개선해야 할 부분도 있다. 정부 주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나 상호신뢰를 극복하는 것.

최 위원은 "한국은 역설적으로 말하면 민간도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정부 눈치를 과하게 보다 보니)외적으로 민간일 뿐 오히려 관에 가깝다"며 "자유롭게 생각하고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 금융사들의 대응은 각개전투로 관료한테는 말해도 경쟁 상대에게는 말 안하는 경우가 많다"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한국 금융산업이 공급자 편의 위주로 돌아간다고 비판했다. 큰 틀의 방향은 소비자 위주로 가야 한다.

그는 "기술이 어떻게 변한다는 것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그 변화가 우리 환경에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설명해줘야 한다"며 "금융 산업이 공급자 위주로 돌아가면서 사용자에게는 결과의 책임을 전가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술발전은 소비자의 행복으로 이어져야 하고 특히 자금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금융시스템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위원은 버지니아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에서 은행감독국 이코노미스트, 우리금융지주에서 전략(CSO) 담당 임원을 지내기도 했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