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광수 기자] 금융투자업계내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열풍이 뜨겁다. 하지만 저마다 국내 '최초'를 외치면서 투자자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이는 시장초기 로보어드바이저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리가 안됐기 때문이다. 아직 시장내 안정적으로 자리잡은 상품이나 시스템은 없다. 전문가들은 로보어드바이저가 투자자 인식 속에 조기 안착하기 위해선 보다 명확한 기준을 시장에서 제시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 "리밸런싱(Rebalancing)까지 책임져야 진짜!"
'계약을 체결했다'. 로보어드바이저 업계는 이 문구에 혼동해선 안 된다. 금융투자업자와 판매 계약을 맺은 것일 뿐 당장 매매까지 가능한 상품이 나와 있는 경우는 드물다.
한 로보어드바이저 개발 업체 관계자 A씨는 "핀테크 업체들이 여럿 등장했지만, 자체 매매와 리밸런싱(rebalancing)까지 이뤄지는 상품은 한 손에 꼽힐 정도"라고 귀띔했다. 똑같은 이름을 달았지만 성능은 같지 않다는 얘기다.
업계 전문가들은 리밸런싱까지 제대로 할 수 있어야 '진정한 로보어드바이저'라고 입을 모았다. 현재 시장에는 고객 성향 분석과 포트폴리오 구성, 자체 매매와 리밸런싱까지 가능한 것도 있지만 시장 정보를 분석해 개별 종목을 추천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도 있다.
한명욱 비에스엠아이티 전략본부장은 "사람이 매매 과정에 개입할 필요가 없어야 된다"며 "해외에서 자리 잡은 베터먼트(Betterment)와 웰스프런트(Wealthfront) 등의 로보어드바이저 업체들은 모두 리밸런싱까지 자동으로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 "ETF에 기반 둬야 진짜?"
견해가 엇갈리는 부분도 있다.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업체는 미국의 베터먼트와 웰스프런트의 방식을 벤치마크 한 곳과 자체 개발한 곳으로 나뉜다. 베터먼트나 웰스프런트는 상장지수펀드(ETF)를 기초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적은 금액도 분산이 가능해 안정성이 높고 유동성이 풍부해 리스크 회피가 가능하다. 대부분 국내 업체가 이 방식을 따르고 있다.
반면 종목 추천 알고리즘으로 시작했지만 펀드나 ETF 등을 포트폴리오에 추가시켜 로보어드바이저로 성장한 곳도 있다. 또 디셈버앤컴퍼니처럼 독자적인 형태를 개발 중인 곳도 있다.
한 로보어드바이저 개발 업체 관계자 B씨는 "ETF를 기초로 해 설계되지 않았으면 기존에 있던 종목 추천의 한단계 발전된 형태일 뿐 진정한 로보어드바이저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는 달리 "주식, ETF, 채권 등 대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고객 자산을 엔진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고 얼마만큼 수익을 잘 내느냐가 중요한 것"이라고 반박하는 이도 있다.
김정민 씽크풀 부소장은 "로보어드바이저라는 개념이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생긴 현상"이라며 "ETF 자산 배분을 하던 업체들도 종목과 펀드를 포함시킨 것처럼 결국 1~2년가량 지나면서 개념정립이 분명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이광수 기자 (egwangs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