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일문일답] KT '소물인터넷' 사업 개시..모듈·요금 무료 개방

기사등록 : 2016-03-29 15:0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상반기 전용 요금제 발표하고 올해까지는 개발자들에게 무료 제공

[뉴스핌=심지혜 기자] KT가 기존 LTE 통신망을 이용해 소물인터넷 사업을 시작한다. 별도로 기지국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즉시 상용화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KT는 29일 ‘LTE-M’ 전국망을 상용화 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물인터넷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은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시 전원이 들어가지 않아 배터리만으로 운영 가능한 전송기술이다. 사물인터넷(IoT)의 일환으로 저비용, 저전력, 저용량이 특징이다. ‘LTE-M’은 소물인터넷에 특화된 글로벌 표준 네트워크 기술을 말한다.

KT가 직접 소물인터넷을 활용하는 제품들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KT는 소물인터넷에 필요한 모듈과 여기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LTE-M 망을 제공하며, 별도의 개발자들이 이를 기반으로 관련 기기들을 만들게 된다. 일례로 소물인터넷은 수도·가스 사용량을 측정하거나 자전거 위치추적 등에 이용될 수 있다. 

KT는 소물인터넷 생태계가 확산될 수 있도록 연말까지 관련 모듈과 요금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더욱 진화된 소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500억원에 이르는NB(협대역)-IoT에도 투자한다. NB-IoT는 LTE-M보다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더 작은 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이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를 위해 KT는 지난 22일 경기 창조경제혁신센터에 NB-IoT Open Lab을 개소했으며, 연내에 NB-IoT의 상용망 연동 테스트 및 서비스 검증을 완료해 전국망 상용화를 세계 최초로 추진할 계획이다.

KT는 LTE-M 전국망을 이용한 소물인터넷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진=심지혜 기자>

다음은 김준근 KT GiGA IoT 사업단장을 비롯한 소물인터넷 사업 관련 임원들과의 일문일답이다.

-과금 모델이 어떻게 되는지. 협력사들과 B2B로만 진행하는 것인가.

▲요금제와 관련해서는 좀 더 고객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 상반기 내 발표하겠다. 

-향후 개발 로드맵은. LTE-M은 NB-IoT와 같이 가야 할 것 같다. 또는 다른 기술 표준인 로라(LoRa), 시그폭스(SIGFOX)와 같이 할 것인가.

▲NB-IoT가 나오면 로라나 시그폭스는 쉽지 않을 것이다. 소물인터넷이 되려면 전국 곳곳에 네트워크 망이 깔려있어야 한다. NB-IoT는 기존 망을 사용하는 반면 로라나 시그폭스는 추가로 망을 설치해야 한다. 

-KT는 그동안 '기가' 사업을 강조해왔는데 소물인터넷 사업을 강조하게 되면 방향성이 달라지는 것 아니냐. 

▲통신 방향성에는 2가지가 있다. 인터넷 처럼 빠른 속도가 필요한 것이 있고 기가 급으로 많은 것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있다. 소물인터넷이라는 것은 수 많은 연결이 필요한 부분에 쓰이는 것으로 포함 되는 셈이다. 

-중소기업과 협력한다고 했는데,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되는가?

▲우리는 많은 플레이어들의 수익을 나눠 성장하겠다는 것이 아니다. 상태계를 만들고 그 중심에 있으면 KT가 추가로 할 수 있는 사업들이 많이 있다. 그것이 우리가 말하는 초연결, 융복합 발전이다. 작은 기업이 혼자 할 수 없는 것을 KT가 같이 하는 것이다. 수익을 나눠먹자고 하는 것이 아니다.

-송희경 전 사업단장에서 김준근 사업단장으로 바뀌었다. 사업 방향성이 바뀔 수 있는가.

▲단장이 바뀌었다고 방향성까지 바뀔 사업이 아니다. 

-창조경제에 기여한다고 했는데, 현 정권이 1년 밖에 남지 않았는데 이후 계획은. 

▲창조경제와 우리가 하는 사업이 본질적으로 유사하다고 본다. 우리가 추구하는 방향성 자체가 에코 시스템을 조성하고 이를 활성화 하려는 것이다. 

-저전력, 저용량이라고 하는데 센서가 얼마나 작고 전력 소모량은 어떻게 되나. 

▲소물인터넷은 굉장히 작은 단위의 센서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시 전원이 들어가지 않으면서 소량의 텍스트 데이터만 제공하고 확인하는 것이다. 당연히 대용량 멀티미디어나 이미지 등을 교환하거나 다루는 것은 기존 LTE나 3G에 적용된다. 

-소물인터넷과 사물인터넷(IoT)의 차이점이 정확하게 무엇인지.

▲사물인터넷에는 소물인터넷도 포함된다. 홈IoT역시 비슷한 개념이다. 큰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물이나 데이터 전송량의 차이가 있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모듈 10만개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했는데, 투자 규모는 어떻게 되는가. 사업 성장 가능성은 얼마나 

▲생각지 못한 곳에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KT가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시기나 방법을 다 할 수 없어서 개발자들에게 우선 무제한으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수익을 계산 하지 않고 있다. 중장기 적으로 전체 산업을 고려하고 생활이 바뀌다 보면 새로운 형태의 수익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마 전혀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김준근 KT GiGA IoT 사업단장(가운데)과 소물인터넷 사업 추진 관련 임원들. <사진=심지혜 기자>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