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업종] 5천년 구각벗고 새단장나선 스마트농업

기사등록 : 2016-05-19 07: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농촌이 인터넷과 만났을때, 시장규모만 약 1800조원

[편집자] 이 기사는 05월 16일 오후 5시0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승환 기자] 중국 IT 기업들의 발길이 일제히 농촌으로 향하고 있다. 6억명에 육박하는 중국 농촌 인구가 소득 향상에 힘입어 인터넷 관련 시장의 새로운 소비 주체로 급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국의 정책도 농촌 전자상거래를 국가 경제 성장 과제로 채택할 만큼 적극적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농촌+인터넷’ 관련 시장의 규모가 최대 10조위안(18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800조원 농촌 인터넷 시장을 잡아라

중국 최대 B2B(기업간 거래) 전문 매체가 최근 발표한 ‘인터넷+농업 산업 보고서(2015)’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물류 등을 포함한 중국의 농촌 관련 인터넷 소비 시장의 규모가 최대 10조위안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다. 분야별로는 온라인 농산품 거래 플랫폼의 규모가 5조위안(900조원), 온라인 농수산물 유통 시장의 규모가 3조위안(539조원), B2B 농자재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2조원(360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는 지난 2014년 기준 중국 전체 GDP(약 63조위안)의 1/6에 해당하는 거대한 규모다. 이 같은 전망이 제기되면서 알리바바 등 대형 IT 기업들은 물론, 부동산, 금융 관련 기업들도 인터넷+농촌 시장을 미래 먹거리로 꼽으며 관련 사업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경우, 재작년 이미 농촌 전자상거래 사업 전략을 발표하며 향후 5년간 1조8000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상태다. 이 이외에도 징둥(京東), 러스(樂視), 수닝(蘇寧) 등 IT 기업과 비료기업 킨젠타(金正大), 농업 전문기업 다베이눙(大北農) 등이 인터넷+농촌 분야에 뛰어 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료=중국 투비왕(2B网)>

당국의 적극적인 인터넷+농촌 정책 또한 기업들의 농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요인이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해 9월 농촌 전자상거래 발전 프로젝트를 발표, 국가 중점 육성 사업으로 지정했다.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간 농촌+인터넷와 관련해 발표된 정책 또는 의견만 11건에 달한다.

좁은 의미에서 인터넷+농촌이란 기존의 농업에 빅데이터, 크라우드, 사물 인터넷 등 IT 기술을 도입해 생산 효율을 확대하고, 전자상거래, 핀테크 등 서비스를 통해 농촌 인구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 같은 IT 기술을 통해 일본의 1/90, 프랑스의 1/11에 머물고 있는 농업 기계화 수준을 극복한다는 전략이다.

전문가들이 ‘인터넷+농촌’ 시장과 관련해 가장 기대하는 분야는 B2B 전자상거래다.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생산자와 가공자 및 유통업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과거 생산 비용 상승을 야기해 온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외에도 온라인 B2B 플랫폼을 통한 물류·저장 ·유통 서비스, 인터넷 금융을 통한 농가의 자금조달, 그리고 자연환경을 활용한 관광자원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중국 농촌 인구의 소비력 향상이 ‘인터넷+농촌’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농촌 인구의 순 수입이 10%씩 증가, 2015년 처음으로 1만위안(178만원)을 돌파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료=중국 투비왕(2B网)>

◆농촌에 인터넷 심는 중국 IT 기업들

중국 기업들은 규모 1800조원을 관측되고 있는 거대 인터넷+농촌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펴고 있을까.

알리바바는 지난 2014년 10월 100억 위안(약 1조8000억원) 규모의 '천현만촌(千縣萬村)' 프로젝트를 발표, 현(縣)단위의 전자상거래 센터 1000개와 농촌 서비스센터 10만개 설립을 선언했다. 저장성(浙江) 퉁루현(桐庐縣)에서 처음 문을 연 '농촌 타오바오 서비스 센터'는 1년새 전국 63개현, 1803개 촌으로 확대됐다.

알리바바는 또한 중국 농촌에 거주중인 10대 100만 명에게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창업’을 위한 투자와 교육 사업을 진행할 계획으로 나타났다. 알리바바 외에도 징둥, 수닝 등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농촌 전자상거래 시장에 진출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료=중국 투비왕(2B网)>

인터넷+농촌 시장에 진출하는 스타트업 업체들도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 2009년 창업한 투류왕(土流網)은 인터넷을 통해 농민들이 토지를 매매(유전, 토지 유동화)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중국 농촌 각지에 파견돼 있는 투류왕의 직원들은 토지 유전를 원하는 농민의 토지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찾아 매칭해 주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투류왕은 지난 2014년 12월 중국 성다(盛大)그룹으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8월 정식 출범한 농수산물 B2B 전자상거래 플랫폼 안유톈(俺有田)은 3개월만에 1000여 곳의 공급 업체를 확보하며 거래량 1천만 건을 돌파했다. 이 스타트업 업체는 1200여 곳의 농가가 생산한 농수산물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상하이 지역의 중소 마켓과 편의점 등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안유톈의 이용 업체수는 5만여 개, 일일 거래량은 2만여 건을 기록했다.

농산품이 아닌 농자재와 농업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온라인 B2B 업체도 있다. 지난 2014년 초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윈농장(雲農場)의 2015년 말 기준 이용 업체수는 2000만곳으로, 누적 서비스 농지 면적은 3억 무(亩 1무=666.6667㎡)에 육박한다. 600여명 석박사 농업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는 이 업체는 농가에 필요한 농자재와 농업 관련 기술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체계적인 농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