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백현지 기자] KB금융지주가 KB투자증권과 현대증권간 통합작업에 나선 직후 리스크관리부문(CRO 전격교체)에 가장 먼저 손을 댄 데에는 현대증권이 매각을 앞두고 무리하게 진행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은행뿐 아니라 증권사들이 토지매입 단계의 PF에 참여할 때 1개 사업장에 투자하는 자금 규모는 보통 300~500억원 수준이다.
하지만 현대증권은 지난해 4분기에만 단일 프로젝트에 각각 4000억원, 3500억원 규모의 대출에 나서는 등 평소와 다른 행보를 보였고 이를 통해 대규모 수익을 낼 수 있었다.
지난해 4분기 현대증권은 912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시장컨센서스(약 390억원)을 두 배 이상 웃도는 실적을 냈는데 이는 IB본부내 PF부문 3개사업장에서만 약 500억원의 수익이 발생한 덕이 컸다.
현대증권은 당시 효성이 시공사로 있는 의왕토지보상, 평택아파트 사업 전체에 총 4000억원, 3500억원씩 대출형태로 참여하며 각각 250억원, 200억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엔 회사 경영진의 판단도 상당부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통상 500억원 이하 사업은 리스크관리책임자(CRO)를 포함한 리스크협의회에서 결정하지만 규모가 커질 경우 리스크협의회를 넘어 회사 차원의 심사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당시 보증북 한도는 1조원 수준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KB금융지주는 합병관련 통합추진위원회 출범 직후 현대증권 CRO부터 교체하고 나선 것. 결국 기존 현대증권에서 감사실장, 상품전략본부장, 고객자산운용본부장을 거쳐 CRO를 맡아왔던 해당 임원은 AI본부로 자리를 옮겼다.
한 증권사 PF담당임원은 "증권사가 단일 사업장에 4000억원씩 투자하는 케이스는 건설사들이 어려워지기 이전인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도 보기 드문 케이스"라며 "기존 현대증권은 PF투자를 보수적으로 심사하는 편이었는데 지난해 초부터 투자 행태가 공격적으로 바뀌었다. 매각을 앞두고 단기 실적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으로 추정된다"고 지적했다.
이와관련, 현대증권 관계자는 "(PF딜은) 케이스별로 접근하는데 철저한 리스크 분석을 거치고 참여해 왔다. 해당 건도 그정도의 위험한 상황은 아니었다"며 "두 사업장은 이미 절반 가까운 규모를 셀다운(인수후 매각)해 규모도 축소돼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KB금융지주 측은 이번 CRO 교체와 관련, "그룹 리스크 정책에 부합하는 부동산 익스포저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새로 선임된 CRO는 최근 KB투자증권, KB금융지주에서 리스크를 담당해 온 리스크 전문가"라고 답했다.
[뉴스핌 Newspim] 백현지 기자 (kyunj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