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김석준 KT 상무 "IoT, 소비자 지갑 열 때 성공"

기사등록 : 2016-06-27 15:5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시장선 'KT 대응 늦다' 평가..."업계 협업으로 주도권 쥘 것"

[뉴스핌=심지혜 기자] 최근 산업계의 화두로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사람과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끼리도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소통할 수 있어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주요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는 ‘사물인터넷’ 시장 패권을 잡기 위해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서비스 출시에 한창이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통 3사를 중심으로 홈IoT 시장을 잡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사물인터넷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만큼, 이를 서비스하는 통신사들이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사진=김석준 KT 상무>

이러한 상황에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 가운데 최근 눈에 띄는 행보로 IoT 시장선점에 나서고 있는 KT의 김석준 미래융합사업추진실 상무를 만났다. 그는 기가(GiGA) IoT 추진 TF장까지 맡고 있다.

김 상무는 사물인터넷에 대해 “최근 몇 년 사이 주목받게 된 기술이지만 10여 년 전부터 있었던 개념”이라고 운을 뗐다.

‘만물이 연결된다’는 의미를 가진 사물인터넷은 앞서 2000년대, 어디서나 어떤 기기로든 자유롭게 통신망에 접속해 각종 자료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개념의 ‘유비쿼터스(Ubiquitous)', 그리고 컴퓨터. 센서 등 다양한 기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해 정보를 서로 교환하게 한다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에서 확장된 개념이라는 것이다.

◆시작 늦었다고? 먼저가 중요한 것 아냐

이통 3사가 적극 나서고 있는 홈IoT 분야에서는 LG유플러스가 일찍이 뛰어들어 가장 먼저 30만 가입자를 돌파했으며, SK텔레콤은 지난 1분기 기준 국내 웨어러블 시장 점유율 83%를 차지했다. 또한 세계 첫 전국 사물인터넷 전용망을 구축하는 등으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KT는 경쟁사에 비해 대응이 늦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눈에 띄는 전략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 상무는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고 단언했다. 그는 “사물인터넷 시장은 소품종 다량 생산 방식이 통하던 과거 방식과 달리 다품종 소량 생산이면서 롱테일 비즈니스가 수반되는 시장”이라며 “주도권을 잡고 있는 사업자는 아직 아무도 없다고 평가했다.

사물인터넷 가치 사슬을 보면 앞단의 하드웨어 제조사들은 종래의 제조 기술을 기반으로 뒷단의 플랫폼·서비스 사업자들의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통사들의 경우 플랫폼 및 통신망을 기반으로 직접 단말을 소싱하고 보급하는 등으로 앞단의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독보적인 주도권을 쥔 사업자는 아직 없다고 분석했다.

김 상무는 “사물인터넷 시장은 성격 자체가 개방적인 무한 경쟁이 동반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가치 사슬의 앞단, 뒷단의 사업자들과도 끊임없이 소통하고 경쟁하고 또 치열한 각축전을 벌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살아남으려면 ‘경쟁’ 보다 ‘동맹’

김 상무는 사물인터넷 시장에서는 ‘동맹’을 바탕으로 한 ‘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협업은 결국 시너지를 발휘해 산업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시간이 갈수록 동맹의 역할이 커져 산업의 표준이 되고 주도권까지 쥐게 된다는 것이다.

김 상무는 “시장에서 최종적으로 살아남는 사업자가 자연스럽게 패권을 쥐게 될 것이고, 시장 질서는 그에 따라 개편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따라 KT는 사업협력체 ‘기가 IoT 얼라이언스’를 발족, 파트너들을 지속 확보하고 있으며 관제 플랫폼 ‘IoT 메이커스’로 글로벌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기가 IoT 얼라이언스에는 9개월 만에 350여 사업자가 모였다.

또한 김 상무는 “해외 진출도 시도하고 있다”면서 “지난해부터 기가 IoT 얼라이언스 내 파트너사들과 함께 글로벌개척단을 창설, 직접 중국을 방문해 우리 제품을 알리고 사업화를 위한 미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시장에서는 주요 분야에서 영속 가능한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라며 “전문분야인 통신 네트워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태계를 확장하고 궁극적으로는 수익 창출로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쟁 사업자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먼저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판국이지만 우리도 이에 뒤질세라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면서 “사물인터넷 기반을 선점하고 궁극적으로 시장 견인과 수익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넘어야 할 산 “기꺼이 지불하게 만드는 것”

김 상무는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소비자 인식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이통 3사가 주축이 돼 열띤 경쟁을 펼치고 있는 홈IoT 분야의 경우,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에는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사업자들이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공급하는 등 시장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지불 의사를 이끌어내기에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김 상무는 “이는 경기침체 상황과도 맞닿아 있다”고 진단하며 “사물인터넷 시장이 본격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기침체 속에서도 소비자 지갑을 열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이 곧 과제”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상무는 “KT는 동맹을 통한 연합으로 시장 생태계를 키우고, 이들과 함께 킬러 서비스를 발굴해 시장에서 최종 승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