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 ANDA 칼럼] 2% 아쉬운 은행 수수료 '현실화'

기사등록 : 2016-06-30 10: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박영암 금융부장] #맞벌이 주부 김수영(47)씨는 퇴근길 KB국민은행 자동화기기(ATM)에서 30만원을 찾았다. 영수증을 보니 수수료항목에 평소보다 100원 더 많은 1000원이 찍혀 있다. 지난 20일 ATM인출수수료 인상 사실을 몰랐던 김씨는 “예금이자는 쥐꼬리만큼 주면서 수수료는 잘도 올리네”라며 볼멘소리를 낸다.

시중은행들이 욕먹을 작정으로 수수료 ’현실화’에 나서고 있다. 대다수 시중은행이 ATM인출 및 송금 관련 수수료를 올렸다. 저금리·저성장으로 총이익의 87%를 차지하는 이자이익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최근 4년새 시중은행의 이자이익은 39.1조원(2011년)에서 33.5조원(2015년)으로 6조원가량 줄어들었다.

이에 시중은행은 그동안 고객들의 반발로 주저했던 ATM인출이나 송금·환전 등 대고객수수료를 과감히 올리고 있다. 이전에 비해 인상명분이 충분하다는 자신감도 넘친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1년 서민경제 지원방안의 하나로 대고객수수료를 최대 40%가량 내렸다. 당시 시중은행은 2000억원 규모의 수수료수입을 포기해야 했다. 금융위기가 진정된 만큼 원상회복하자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여기다 유럽이나 미국보다 싼 수수료도 인상명분으로 인용된다. 수수료 인상에 부정적인 금융소비자연맹 조사에 따르더라도 ATM인출수수료는 유럽 평균6000원, 미국 평균3000원으로 한국보다 최고 5배 비싸다.

시중은행의 수수료 인상명분에 충분히 공감한다. 경기를 덜 타면서도 실물경제 지원에 필요한 기초체력(!)을 유지하려는 시중은행의 고충을 십분 이해한다.

다만 몇 가지는 아쉽다. 대고객수수료를 먼저 올리는 점이다. 대고객수수료 비중은 전체 수수료수입의 7%대에 불과하다. 절대비중을 차지하는 외환수입수수료 대출중도상환수수료 자산유동화수수료 등을 늘리려는 은행권 노력은 부족해 보인다.

전문가들은 부정여론을 희석하는 방안으로 기업투자금융(CIB)역량 강화를 꼽는다. 선진국 은행처럼 신디케이트론 중개나 유가증권유동화 등에서 거액의 수수료를 벌어 대고객수수료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자는 것이다. 여기다 시중은행들이 최근 역량을 집중하는 자산관리부문도 향후 알짜배기 수수료 원천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당장 CIB와 자산관리에서 유의미한 수수료수입을 기대하긴 힘들다. 선진국 은행과 비교해서 국내은행의 CIB역량은 아직 걸음마단계다. 자산관리도 이전보다 나아졌지만 자문서비스 공짜분위기는 여전하다.

그렇다고 지금처럼 ‘업무대행수수료’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 방카슈랑스(은행에서 보험상품 판매)와 해외펀드 주가연계증권(ELS) 판매에서 나오는 ‘업무대행수수료’는 2011년이후 총수수료수입의 35%가량을 차지한다.

하지만 업무대행수수료는 불완전판매 등 평판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평판리스큰 자칫 은행 본업에 치명적 타격을 가할 수 있다. 결국 당장은 어렵지만 CIB와 자산관리 수수료를 늘려야만 수익구조 다각화라는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은행서비스는 공짜가 아니라는 인식이 공감대를 넓혀간다. 수수료 인상에 대한 저항도 줄어들고 있다. 금상첨화로 금융당국도 수수료 인상을 규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런 우호적 환경을 새로운 수수료수입원 개발로 연결하느냐는 전적으로 은행 몫이다. 은행권의 달라진 역량을 보여주지 못하고 구태를 답습할 경우 우호적 여론은 언제든지 급변할 수 있다. 시중은행도 수수료 현실화에 대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뉴스핌 Newspim] 박영암 금융부장 (pya8401@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