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핫!종목] NEW, '부산행' 타고 경쟁력 부활

기사등록 : 2016-07-26 11:0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부산행 선판매 30억원 이상 매출"

[뉴스핌=백현지 기자] #. NEW가 투자한 총 제작비 75억원의 영화 변호인은 1137만의 관객을 끌어모으며 선전했다. 당초 '변호인'은 시나리오 단계에서 투자사를 찾기 못해 난항을 겪다 NEW가 전격 투자를 결정하면서 빛을 보게 됐다.

NEW의 과감한 투자제작 사례다. NEW(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가 최근 '부산행'으로 본업인 국내 영화투자배급업에서 경쟁력을 되찾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연말 개봉예정인 조인성, 정우성 주연의 '더킹'까지 가세해 작품성과 흥행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것으로 안팎에선 전망하고 있다.

26일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일 개봉한 NEW의 좀비재난블록버스터 '부산행'의 누적관객수는 25일 기준 580만 관객을 넘어섰다. 1000만 관객 돌파 기대감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부산행'의 총 제작비는 115억원으로 손익분기점으로 알려진 300만 관객은 이미 넘었다.

영화 투자지분율은 비공개가 원칙이지만 투자배급사들의 투자지분율이 평균 10~30% 선이다. 부산행 투자지분율을 20%로 가정했을 때 1000만 관객을 기준으로 국내 투자수익과 배급수익은 59억원 가량으로 추정된다.

또, '부산행'은 칸 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서 상영된 이후 156개국에 선판매되는 성과를 냈다. 선판매에서만 30억원 이상의 매출을 거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영화제작업계 한 관계자는 "부산행이 천만관객 이상을 유치할 경우 부가수익까지 고려했을 때 100억원 가량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지난 2009년 본격적인 영화투자 사업에 뛰어든 NEW는 국내 양대 배급사인 CJ엔터테인먼트·롯데엔터테인먼트와 달리 대형 영화관 체인을 보유하지 않고 있다. 이에 투자부터 배급, 상영이 수직통합된 독과점 시장에 가까운 한국영화계에서 후발주자인 NEW가 묻지마식 극장 배급 없이 성공을 거둔 자체가 주목할만하다는 평가다.

NEW는 이런 약점을 투자 작품 선별, 빠른 의사결정 등을 바탕으로 극복해 지난 2011년 영화 투자배급 시장점유율 3위까지 올라섰다. 지난 2013년 7번방의 선물을 시작으로 변호인, 신세계 등 투자 영화에서 흥행 랠리를 이어가며 2014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입성했다.

다만 상장 이후 실적은 부진했다. 지난해 826억원의 매출액을 올렸지만 2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이는 지난해 블록버스터 작품 '대호'에서 투자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개봉영화들도 손익분기점을 하회했다.

이에 회사 주가는 지난 2월 9150원까지 내리며 52주 신저가를 새로 쓰기도 했지만 증권가에선 하반기는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친다. 올해 매출액 1000억원 돌파와 함께 흑자전환이 예상된다는 것. 부산행 기대감에 회사 주가는 25일 종가기준 1만4200원까지 오르며 회복세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NEW의 올해 매출액은 1103억원, 영업익 54억원, 당기순이익 70억원으로 흑자전환이 전망된다.

박성호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부산행이 예상대로 천만영화 수준의 메가흥행 기록시 의구심의 대상인 영화투자배급업 경쟁력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 12월 초 개봉 예정인 조인성, 정우성 주연 영화 '더킹'도 하반기 대작영화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내년부터 '씨네스테이션Q'라는 멀티플렉스 극장을 운영해나갈 계획도 긍정적인 부분이다.

NEW 관계자는 "더킹도 제작비 100억원이 넘는 작품으로 올해 부산행과 함께 기대작으로 꼽고 있다"며 "씨네스테이션Q는 현재 4개 사이트가 확정된 상태로 추후 늘려갈 수 있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백현지 기자 (kyunj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