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영태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화해·치유재단'이 28일 공식 출범했다.
화해·치유재단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중구 순화동 사무실에서 이사회 첫 회의를 열고 재단 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오전 11시 현판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재단 이사장은 설립준비위원장으로 활동한 김태현 성신여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가 맡았다. 이사진은 김 이사장을 포함해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진창수 세종연구소장, 이원덕 국민대 교수,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 조희용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소장 등 준비위에 참여한 각계 인사 10명으로 꾸려졌다.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이정심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은 당연직 이사다.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은 고문으로 위촉됐다. 재단은 정관상 이사를 최대 15명까지 둘 수 있는 점을 감안해 추가 선임도 검토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위안부 소녀상 문제에 대한 질문에 "합의내용을 봐도 소녀상과 10억엔은 전혀 별개다. 소녀상과 연계해 10억엔이 오느냐 아니냐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사업 방향에 대해선 "재단 설립 목적은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존엄을 회복하는 것"이라며 "그 외의, 목적이 아닌 곳에는 돈을 사용할 수 없고 사용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재단 명칭에 포함된 '화해'의 뜻에 대해선 "할머니들과 역사의 화해도 되고 (재단에) 반대하는 분들과도 화해하는 것"이라며 "가해자를 용서하지 않는 것은 치유가 될 수 없다. 저희가 성의를 다해 다가섰을 때 그분들이 가해자를 용서하고 용서가 화해까지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화해·치유 재단 설립은 지난해 12월28일 한·일 정부 간 합의 결과다. 두 나라는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의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한국 정부가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는 자금을 일괄 거출하기로 합의했다.
재단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어떻게 지원할지는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 재단은 일단 피해자 직접 수혜 사업과 추도를 위한 상징적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하되 직접 수혜 사업의 비중을 최대한 늘리고 피해 할머니들의 의견을 우선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사업비는 일본 정부가 부담하기로 한 10억엔(약 107억원)으로 충당하지만 출연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재단은 10억엔을 모두 피해자 지원에만 쓰기로 하고 임대료·인건비 등 부대비용은 별도로 조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되는 '화해·치유 재단' 출범일인 28일 오전 서울 중구 순화동 재단 사무실 건물 앞에서 12.28 합의강행과 화해치유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시민들과 대학생들이 기자회견을 갖고 재단설립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그러나 일부 피해자와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시민단체들은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합의 자체에 반대하고 있다. 화해·치유 재단에 맞서 '정의기억재단'을 지난달 발족시키기도 했다.
정대협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도 재단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합의 무효화를 주장했다. 또 김 이사장이 재단 사무실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기에 앞서 대학생 10여 명이 간담회장을 점거하고 "10억엔은 필요없다" "한일 합의 폐기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다가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오전 11시30분께 연단을 점거했던 학생들은 모두 경찰에 의해 건물 밖으로 끌려나왔다. 30분 가량 건물 밖 곳곳에 흩어져 있다가 낮 12시께에는 15명이 후문 쪽에 한 데 모여 경찰에 둘러싸인 채 항의했다. 경찰은 세 차례에 걸쳐 자진 해산 명령을 했으나 학생들은 항의를 멈추지 않았고 이동 과정에서 경찰과 충돌을 빚었다.
한편 출범 기자회견이 끝난 낮 12시25분께 신원을 알 수 없는 한 젊은 남성이 회견을 마치고 건물을 빠져나오는 김태현 이사장과 일행 2명을 향해 캡사이신을 뿌렸다. 김 이사장 일행은 눈물과 콧물을 흘리며 통증을 호소했고 이내 구급차에 실려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다. 경찰은 이 남성을 현장에서 연행, 사건 경위를 조사중이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