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네이버ㆍ카카오서 리우올림픽 생중계 사라진 이유는

기사등록 : 2016-08-18 07:2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재송신료 2배 높아져 하이라이트만 다시보기..베이징 이후 첫 결방
400억 쓴 지상파, 시청률 저하로 적자..포털은 올림픽 특수 '아이러니'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17일 오후 2시0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최유리 기자] 굵직한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쉽게 볼 수 있었던 포털에서 2016년 브라질 리우올림픽 생중계가 자취를 감췄다. 중계권을 가진 지상파 3사가 예년보다 2~3배 높은 재송신료를 요구해 중계 협상이 결렬됐기 때문이다.

생중계를 독점하다시피 한 지상파는 올림픽 특수가 사라진 반면, 하이라이트만 서비스하는 포털은 올림픽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는 점은 아이러니다.

17일 포털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리우올림픽 특별 페이지를 통해 하이라이트 다시보기만 제공하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양사 모두 해당)을 제외하고 최근 10년간 열린 하계·동계 올림픽과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 국제 대회를 생중계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이용자들은 포털 대신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모바일TV를 통해 생중계 방송을 볼 수 있다. 동영상 업체 중에선 아프리카TV가 유일하게 판권을 확보해 생중계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다음 리우 올림픽 특집 페이지 이미지=카카오>

올해 포털의 리우올림픽 생중계 서비스가 불발된 배경에는 재송신료 협상이 있다. MBC, KBS, SBS 등 올림픽 중계권을 확보한 지상파3사가 포털사에 예년보다 높은 재송신료를 요구하면서 밀고당기기를 하다가 끝내 계약이 불발된 것. 올림픽 중계를 위해 총 440억원을 부담한 지상파3사는 포털과 이동통신사 등에 예년보다 2~3배 가량 높은 재송신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남녀노소가 즐겨보는 올림픽은 포털사에게 중요한 콘텐츠지만 지나치게 높은 가격 탓에 서비스를 포기하게 됐다"면서 "중계 서비스를 하는 곳도 있는 것은 사업자마다 다른 가격을 책정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비용 부담 대신 중계 포기를 선택했지만 포털사들은 하이라이트 영상만으로 쏠쏠한 재미를 봤다. 현지 올림픽이 우리나라 시간으로 새벽에 열리면서 다시보기로 경기를 즐긴 이용자들이 많았다는 분석이다.

온라인 시장조사업체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네이버스포츠 서비스는 리우올림픽이 개막한 6일부터 이틀간 순방문자수 335만명을 기록했다. 전주 대비 24% 증가한 수치다. 페이지뷰와 총 체류시간은 각각 16%와 13% 늘었다.

카카오의 경우 올림픽 기간 동안 다음스포츠 PC 페이지뷰는 개막 전주보다 3배 가까이 늘었다. 모바일 페이지뷰 역시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가대표팀의 축구경기가 있었던 지난 8일과 11일 상승폭이 컸다는 설명이다.

업계는 지상파가 최근 광고 매출 부진에 허덕이면서 재송신료를 높게 책정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지상파TV가 거둔 광고 매출은 1조999억원으로 2012년 대비 10% 가량 감소했다.

광고업계 관계자는 "지상파 방송들이 올릭핌 광고 특수를 기대했으나 시청률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적자를 본 것으로 알고있다"고 전했다.

올림픽 중계권보다 더 큰 과제는 올 연말로 다가온 방송 콘텐츠 공급 협상이다. 방송 콘텐츠 확보에 사활을 건 포털사가 협상력에서 불리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2014년 말 방송사 스마트미디어렙(SMR)과 콘텐츠 유통 계약을 한 포털사는 올해 말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SMR은 지상파와 주요 종합편성채널, 케이블 방송사의 동영상 유통을 맡고 있다. 2014년 당시 네이버와 카카오는 광고 매출의 90%를 SMR에 배분하고, 영상 편성권과 광고 영업권을 SMR에 넘기기로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방송 콘텐츠가 꼭 필요한 플랫폼사는 열세일 수 밖에 없어 SMR에 유리한 현 조건이 크게 달라질 것 같지는 않다"라며 "다만 영상에 붙은 15초 광고에 대한 이용자 불만이 커서 어떤 협상 카드를 꺼내 들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최유리 기자 (yrchoi@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