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지방소멸’ 일자리 찾아 서울로 짐싸는 여성 청년

기사등록 : 2016-09-05 15:4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여성인구 이탈→20~39세 여성 감소→고령화 진전→활력 저하→지방소멸?

[세종=뉴스핌 조동석 기자] 남녀 가릴 것 없이 청년들의 탈(脫)지방 현상은 심각하다. 지방이 사라질지 모른다는 우려섞인 분석도 나오고 있다.

과거에는 지방거점 국립대가 젊은이들의 이탈을 그나마 막았다. 지방 곳곳에 만들어진 수출단지도 젊은이들의 상경을 붙잡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제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고용흡수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에 기댈 뿐이다. 서비스업종이 저임금이더라도 취업을 위해선 서비스업이 발달한 수도권을 찾을 수밖에 없다.

청년층 인구의 유출은 지역 인구의 감소를 초래하는 데 이어 지역의 인구고령화를 가속화시키고 결국 지역의 존속을 위협하고 있다.

1995년 16개 각 광역시도에서 거주하던 1986~1990년생(당시 5~9세) 인구를 100으로 놓고, 5년마다 이 인구가 어떻게 증감했는지 한국고용정보원이 5일 살펴봤다.

20년 후인 2015년, 25~29세 인구가 순유입된 지역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이다.

경기도가 119.7로 가장 높고 서울이 114.5로 뒤를 이었다. 서울의 경우 2005~2015년 총인구는 1017만명에서 1002만 명으로 감소했는데도 청년층 인구는 순유입됐다.

비수도권에서 청년들이 첫 번째 떠나는 시기는 대학진학 연령인 20~24세다. 서울과 경기, 인천을 빼고 전 지역에서 15~19세 대비 인구규모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방 청년인구의 순유출이 가장 큰 규모로 발생하는 연령은 병역의무를 마친 남자와 대학 졸업자의 다수가 첫 취업을 하는 25~29세다. 지역에서 대졸자의 충분한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해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 유입 규모는 여성이 남성보다 크다.

서울의 5~9세 인구 대비 15~19세 인구비율은 여자가 97.7, 남자가 96.5다. 25~29세 인구 비율은 여자가 122.3으로 남자(107.6)에 비해 14.7%포인트가 높다. 청년층 여성의 취업선호도가 높은 서비스업 일자리가 서울에 집중돼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젊은 여성의 지방 이탈은 지역의 존속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여성 청년인구의 이탈 → 20~39세 여성인구 비중 감소 → 인구고령화 진전 → 인구 감소 → 지역 활력 저하 → 여성 청년인구의 이탈 가속화 → 지방소멸이라는 악순환의 고리에서 헤어나지 못한다는 얘기다.

 

[뉴스핌 Newspim] 조동석 기자 (dsch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