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르포] LG전자, 전문매장 없어도 러시아서 인기..비결은?

기사등록 : 2016-09-08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현지 맞춤 제품·사회공헌 추진…내년 초프리미엄 브랜드 '도전'

[러시아(모스크바)=뉴스핌 황세준 기자] 대한민국의 79배 면적, 지구 육지의 6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큰 땅덩어리를 자랑하는 러시아.

독일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경유한 러시아 모스크바 공항 곳곳에는 'LG OLED TV' 광고가 붙어 있었다. 

LG전자는 이곳에서 국민브랜드로 통한다. 지난 2006년 모스크바에서 86km 떨어진 루자 지역에 생산법인을 세운 이래 10년간 TV와 모니터 2000만대, 세탁기 800만, 냉장고 450만대를 생산했다. 두 집 중 한 집에 LG전자 제품이 있는 셈이다.

모스크바 가전매장의 LG전자 TV <사진=황세준 기자>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간 생산량의 연평균성장률은 세탁기, 냉장고, TV 모두 30%를 넘는다. 특히 세탁기, 냉장고 등 생활가전 제품은 생산량이 매년 거의 50%씩 늘며 러시아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꿰차고 있다.

LG전자가 러시아와 인연을 맺은 것은 약 30년 전이다. 1980년대 후반부터 골드스타(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 브랜드)로 가전제품을 수출해 오다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를 맺은 1990년에 모스크바 지사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러시아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LG전자는 2001년 청소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에어컨, 모니터, 오디오, 전자레인지 등 총 5개 제품이 ‘러시아 국민브랜드’에 선정됐다. ‘러시아 국민브랜드’는 러시아 최고 권위의 브랜드 어워드로 매년 전문가 평가와 15만여 명의 소비자 평가를 합산해 선정한다.

시장조사기관 GFK가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가전 제품 중에서 어떤 브랜드들을 알고 있는가?'라고 물은 결과 99.3%가 LG전자를 떠올렸다고 한다.

LG전자가 러시아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주요 루트는 가전종합매장이다. 러시아는 백화점에서 가전제품을 팔지 않는데다가 땅값이 비싸 자체 전문점을 내기도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모스크바 시내를 이동하는 중 LG전자 간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모스크바 가전매장의 LG전자 세탁기 <사진=황세준 기자>

송대현 LG전자 CIS지역대표 겸 러시아법인장은 "가전매장의 일부 구역을 매입해서 자체적으로 LG존을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 매장 하나 없는 LG전자가 러시아에서 국민 기업으로 통할 수 있는 비결은 철저한 현지 맞춤형 전략과 사회공헌 활동이다.

루자 공장 생산제품 중 러시아 판매 비중은 TV·냉장고가 90%, 모니터가 100%, 세탁기가 80%다. 제품도 한국과 달리 소형 TV·냉장고·세탁기, 벽걸이형 에어컨 위주로 자체 생산해 공급하고 있다.

또 루자 공장에는 1200명의 생산 인력과 400명의 영업인력 등 총 1600명의 현지인이 근무 중이다. 협력회사 직원까지 합하면 LG전자 소속 현지인이 4000명에 이른다. 라인 곳곳에서 회사별로 다른 색상의 조끼와 티셔츠를 입은 직원들이 작업 중인 모습을 확인했다.

송 부사장은 "직원들의 평균 근속년수는 5.8년이고 평균 나이는 35세정도"라고 소개했다.

LG전자는 루자 공장 생산라인 근무자들 시력 보호를 위해 최근 생산라인의 모든 조명을 형광등에서 LED조명과 플라즈마조명(PLS)으로 바꿨다. 

러시아 내 전자제품 제조공장 가운데 악취와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는 축열식연소산화설비(RTO)를 갖춘 것도 LG전자가 처음이다. LG전자는 이 설비를 활용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공기 오염물질을 98%까지 줄였다.

아울러 LG전자는 러시아 사회의 일원으로써 ‘브 나로드(민중 속으로)’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뇌암 등 뇌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어린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어린이 뇌 질환 치료재단인 하벤스키 재단에 후원금 500만 루블(한화 약 9000만워원)을 기부했다.

기부금 외에도 LG전자는 고객들이 LG전자 홈페이지에 웃고 있는 사진을 올리면 1장에 100루블씩을 적립해 추가로 전달했다. 이 행사는 어려울 때일수록 웃음을 잃지 말자는 취지로 기획됐으며, 약 5천 명의 러시아 고객들이 이 행사에 참여했다.

모스크바 가전매장의 LG전자 청소기 <사진=황세준 기자>

이밖에 LG전자는 2009년부터 러시아 기업 중 최초로 현지 정부와 파트너십을 맺고 헌혈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지금까지 이 캠페인에 참가한 인원은 8000명, 혈액의 양은 4t에 이른다.

LG전자는 헌혈 캠페인을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범국민 캠페인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버스, 열차, 배, 비행기까지 동원해 전국을 누볐다. 헌혈열차만 4000km를 넘게 달렸다. 캠페인에는 여성 우주비행사 ‘옐레나 세로바(Elena Serova)’ 등 러시아 유명인사들의 동참도 이어졌다.

루자 공장에서는 전용 소방차 2대를 지역 소방활동에 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우며 교통이 불편한 마을에 사는 주민들을 위해  출퇴근용 셔틀버스를 마을과 병원을 오가는 셔틀버스로 사용하고 있다.

이제 LG전자는 러시아에서 국민 기업을 넘어 초프리미엄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모스크바 시내에 있는 대형 전자매장 ‘엠비디오(M.video)에는 65인치 LG시그니처 올레드 TV가 정면에 설치돼 있다.

LG시그니처는 LG전자가 가전제품 중에서도 가장 등급이 높은 초프리미엄 브랜드다. 올해 TV에 이어 내년에는 냉장고와 세탁기로 품목을 확대한다.

동시에 '2018 월드컵' 맟춰 진행하는 공사에 시스템에어컨과 LED 사이니지를 B2B로 납품하고 겨울철 모피를 많이 입는다는 점을 감안해 의류관리기 '스타일러'도 판매할 예정이다. 

송 부사장은 "우리는 한국회사가 아니라 러시아 회사라고 항상 생각하고 있으며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는 물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철저히 실천해 러시아에서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