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사우디 아라비아 중앙은행이 금융권에 긴급 자금을 수혈했다. 유동성 경색 조짐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다.
지난 2월 이후 국제 유가가 반등, 배럴당 4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지만 110달러 선에서 반토막 아래로 폭락한 데 따른 충격이 국가 재정부터 금융시스템까지 흔들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
최근 사우디 측의 감산 제안에도 이번주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비공식 회담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저조하다. 투기거래자부터 연기금까지 유가 하락 베팅을 대폭 늘린 것으로 파악됐다.
26일(현지시각) 주요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 중앙은행은 53억달러에 달하는 단기 유동성을 은행권에 제공했다. 중앙은행 측은 해당 자금을 단기 예금 형태로 은행권에 공급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7일 및 28일 만기 레포 계약을 도입했으나 이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지 않았다.
유가 폭락에 따른 사우디 금융권의 유동성 경색 리스크가 심화되는 양상이다. 유가 안정과 지난 6월 유동성 공급에도 은행간 대출 금리는 7년래 최고치로 치솟은 상황이다.
유동성 위기에 대한 우려가 은행권의 민간 대출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 실물경기를 더욱 압박하는 양상이다. 올해 사우디의 경제 성장률은 1.1%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09년 이후 최저치다.
아포스톨로스 반티스 코메르츠 중동 신용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사우디 금융권의 유동성 경색 조짐이 연초부터 두드러졌다”며 “이번 중앙은행의 대응은 100억달러 이상 유로본드 발행을 앞두고 투자자들의 우려를 진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사우디는 이란이 산유량 동결에 합의한다는 조건 하에 감산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이번주 알제리에서 열리는 OPEC 회담 결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지만 트레이더들은 ‘팔자’를 확대했다.
이날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한 주 사이 헤지펀드와 연기금 등 주요 기관 투자자들이 유가 하락 포지션을 5만558건 늘린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06년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머니매니저들 역시 지난 8월 초 이후 유가 상승 포지션을 28% 축소, 14만7467계약까지 줄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우디를 포함한 OPEC 회원국들이 원유 수급 불균형 완화를 위해 건설적인 의견을 내놓고 있지만 지난 4월 합의 도출이 불발된 바 있어 투자자들은 이번에도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날 맥쿼리 그룹은 투자 보고서를 내고 OPEC 회담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매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OPEC 회담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유가 랠리가 펼쳐질 수 있지만 단기적인 움직임에 그칠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