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 저장성 억만장자의 산실, 성 수도 항저우 부호 세계 최다

기사등록 : 2016-10-03 08:5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자산규모 1조원 이상 부호 저장성에만 72명
마윈을 배출한 곳, 창업과 혁신 인프라 탄탄

[편집자] 이 기사는 9월 30일 오후 5시5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억만장자' 중국인 부호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예로부터 중국 남방 문화와 역사의 중심지로 불리는 저장성(浙江省)이 부호 배출의 '산실'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29일 중국 유력 경제뉴스 매체 시나재경이 후룬리포트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저장성 출신 억만장자(자산규모 1억달러, 원화 1조1000억원 이상)는 모두 72명으로 전세계에서 미국 캘리포이나주(92명) 다음으로 부호를 많이 배출한 지역이 됐다.

저장성의 인구는 14억 가까운 중국 전체 인구의 5%에 불과하지만 이 지역 주민의 자산 규모는 중국 전체 자산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도시 별로 보면 저장성의 성도(省都)인 항저우(杭州)의 억만장자가 32명으로, 프랑스 파리(30명)와 미국 샌스란시스코(28명)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부호를 배출한 도시에 올랐다.

항저우 출신 억만장자들은 이 지역에서 부호가 집중적으로 탄생하는 원인을 항저우의 환경, 문화와 역사에서 찾고 있다. 이들은 중국 역사와 남방 문화의 중심인 자신의 고향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실제로 항저우는 중국 역사적으로 줄곧 무역의 중심이자 지역 경제의 핵심이었다. 대운하의 남단으로 중국 국내 물류와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남송(南宋) 시대에는 수도로써 경제,정치와 문화가 발달하게 됐다. 또한 시후 주변의 수려한 경치는 수많은 학자, 예술가, 문인과 철학가들을 항저우로 불러들였다.

항저우의 가장 대표적인 억만장자는 알리바바 그룹의 창립자 마윈(馬雲)이다. 중국 혁신의 아이콘이자 최고의 부호 중 한명인 그는 "항저우는 중국 개혁개방 적극적으로 시장 개방에 나섰던과 기술을 도입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마윈 본인 역시 항저우 개방된 문화의 최대 수혜자다. 1964년에 출생한 마윈은 10대때 자전거를 타고 항저우에 있는 호수 시후(西湖)에 와서 낯선 외국인들에게 말을 걸어가며 영어를 배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많은 외국인들과의 접촉을 통해 마윈은 인터넷과 IT 분야에 대해 다른 중국인보다 먼저 눈을 뜰 수 있었다.

훗날 마윈의 양아버지 역할을 하며 그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던 호주인 켄 몰리(Ken Morley)도 시후에서 영어 연습 대상을 찾던 과정에서 인연을 맺게 됐다. 몰리의 아들인 데이비드 몰리와 친해진 마윈은 그들의 초청으로 호주를 방문하게 되고, 자본주의가 만들어준 부의 매력에 푹 빠지게 됐다고 한다.

켄 몰리는 마윈이 훗날 IT 산업에 뛰어들 수 있는 많은 영감을 제공했고, 마윈에게 집을 사줄 정도로 그를 아꼈다고 한다. 새로운 문물에 신선한 충격을 받은 마윈을 보고 당시 의형제가 된 데이비드 몰리가 던진 "내가 미래 중국 최고의 부자에게 영감을 주고 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농담'은 마윈이 진짜로 중국 최고 부호가 되면서 '예언아닌 예언'이 되어버렸다.

항저우의 출신의 또 다른 유명 사업가 천쭝녠(陳宗年) 하이캉웨이스(海康威視 하이크비전) 이사장도 항저우에서 부호 배출이 집중되는 이유를 빠른 개혁개방으로 꼽았다.

선전거래소의 유망 종목으로 주목받는 하이캉웨이스는 중국 유명 CCTV 제조업체로 글로벌 보안업계에서 유명세를 날리고 있다. 

천 이사장은 "저장성의 또 다른 도시 닝보, 원저우와 함께 항저우는 개혁개방에 일찌감치 참여하면서 많은 민영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항저우 1세대 기업이 제조업, 노동 집약형 산업에 집중됐다면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 2세대 창업가들은 하이테크 기술 분야 개척에 나섰다. 2000년대 중후반 부터 현재까지는 3세대 창업 시기로 IT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제조,서비스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천 이사장은 "항저우에 많은 기업가가 둥지를 틀고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선대의 창업경험을 거울 삼고, 동시대의 창업 동지들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사업 성공을 위한 유무형의 인프라가 풍부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매년 중국 전체와 지역별 부호 순위를 발표하는 후룬리포트는 "저장성의 기업가수는 중국의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고, 그들은 상호 협업정신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다.

2015년 후룬리포트가 발표한 '저장성 재력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자산규모 5억위안(약 824억원) 이상 부유층 인구는 모두 1만7000명, 이중 저장성 출신 부호가 2천 4명에 달한다.

저장성 출신 유명 기업가 순위를 보면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쭝칭허우 와하하 회장, 딩레이 왕이 창업자, 궈광창 푸싱그룹 회장 등 우리에게도 유명한 기업인이 대거 포함돼있다. 전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 점유율 1위인 다장(大疆 DJI) 왕타오 역시 저장성 출신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