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newspim

'R' 경고 커지는데 "침착하라"는 연준

기사등록 : 2016-10-11 10: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침체 위험 12%? 기상청보다 못 믿어"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10일 오후 2시3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시드니= 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글로벌 금융 시장 곳곳에서 '경기 침체' 경고음이 커지고 있지만,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만은 오히려 그럴 가능성이 낮아졌다며 엇갈린 권고를 내놓아 혼란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9일 자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연준 자체 모형에 따른 향후 12개월 내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은 지난 2월만 하더라도 60%로 현 경기 확장 국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지금은 2015년 2월 이후 최저치까지 낮아졌다.

하지만 주요 투자은행들을 비롯한 전문기관들은 지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연준이 실시해 온 통화완화 정책이 실질적인 경제 회복을 이끌어내지 못한 채 자산시장 거품 만을 키웠을 뿐이며, 정책 한계로 인해 이제 경기 침체 가능성과 그로 인한 시장 붕괴 불안은 빠르게 커지고 있다며 경고 수위를 점차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 연준 "침체 가능성 불과 12%”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출처=블룸버그>

연준은 현재 향후 1년 내로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단 12%에 불과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WSJ는 지난 2월 높아졌던 연준의 침체 경고가 결국 오판으로 드러나면서 지금의 리스크 평가도 신뢰할 수 없다는 회의적 시각이 지배적이라고 지적했다.

경기침체 자체가 자주 발생하는 이벤트가 아니라는 점도 적중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연준은 지난 1973년부터 경기 전망치를 내놓기 시작했는데, 그 이후로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졌던 기간은 13%에 불과하며 연준의 침체 예상 적중률이 50%를 넘은 적도 비슷한 수준에 그친다.

침체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던 적도 있다. 지난 2007년 5월 연준은 향후 1년 동안 침체 발생 가능성이 단 5%에 그친다며 느긋한 태도를 취했지만 그 해 12월 경기 하강 국면이 시작됐고 연준은 그때서도 침체 가능성을 단 39%로 제시했다. 이듬해 본격적인 경기 침체가 시작된 것과는 정반대의 전망치를 제시한 셈이다.

연준의 판단이 여러모로 중요하지만 이들이 제시하는 전망치는 좀처럼 신뢰할 수 없어 이제는 매번 빗나가는 일기예보를 내놓는 기상청보다도 못한 대우를 받는 처지라고 WSJ는 꼬집었다.

◆ '침체→시장 붕괴' 경고음↑

반대로 금융시장에서는 경기 침체와 그로 인한 시장 붕괴가 머지 않았다는 경고 수위를 빠르게 높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적중률이 높다는 지표들을 종합해 봤을 때 지금과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내년 하반기 정도에 경기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뉴욕증권거래소 <출처=블룸버그>

BofA 미국 주식전략 대표 사비타 서브라마니안은 이러한 침체 리스크가 시장에는 반영돼 있지 않다는 것이 무엇보다 불안한 부분이라며 시장이 갑작스레 무너질 수 있는 가능성을 경고했다.

그는 지난 8월15일 S&P500지수가 2193.81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고 지금은 당시 고점 대비 1.8% 정도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며 연말 지수가 지금보다 7% 정도 떨어진 2000까지 밀릴 것으로 내다봤다.

씨티은행도 증시 붕괴 가능성을 경고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BI) 보도에 따르면 씨티은행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금과 유가, 채권시장 금리 및 영국 파운드화 등이 줄줄이 급격한 변동장세를 연출하고 있지만 S&P500만은 좀처럼 흔들림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오히려 불안을 키운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현재 뉴욕증시 상황이 지난 1987년 증시 붕괴 직전과 닮아 있어 소름이 끼친다며, 최근 유럽 등 주요국 은행 건전성 불안과 미국 대선 국면, 일본과 유럽의 테이퍼링 가능성, 중앙은행 통화정책 한계론 등이 모두 갑작스런 증시 급락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 금리인상 부작용? “매도 일찍 맞아야”

한편 투자전문매체 시킹알파(Seeking Alpha)는 침체 위기는 이미 눈앞에 다가와 있으며 더 큰 재앙을 막기 위해서는 연준이 당장 금리 인상에 나서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피터 스키프 시킹알파 논평가는 지난 금융위기 이후 연준이 통화완화를 통해 개입을 했지만 실질적인 경기 회복을 견인하기 보다는 자산시장 거품만을 키웠다고 주장했다.

지난 2009년 6월부터 시작된 확장 국면이 이제 88개월이 지나 사실상 2차대전 이후 네 번째로 오랜 확장기를 거치고 있지만 그럼에도 경제 상황은 그 어느 때보다 취약하다는 것이다.

매년 경제 낙관론이 새로이 제시됐지만 2007년 이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까지 올랐던 해가 한 번도 없으며 그마저도 속도가 더뎌지고 있는 암울한 상황이다.

따라서 스키프는 연준이 금리 정상화를 자꾸 미룰 경우 문제의 버블만을 키울 뿐 침체 리스크를 해소할 수는 없을 것이며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작용이라는 매를 차라리 빨리 맞는 편이 나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시드니 특파원 (kwonji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