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삼성 중국 스마트폰 시장서 '낑낑' M/S 한자릿수, 7위권 밖으로 밀릴 위기

기사등록 : 2016-10-26 17:0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오포, 화웨이 제치고 3분기 판매왕...중국 1위 세계 4위
삼성은 갤노트7 악재로 고객 충성도 급락, 4분기도 먹구름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26일 오전 12시1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지연 기자] 삼성전자의 중국 스마트폰 사업이 올 들어 계속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3분기에도 한 자릿수인 8% 점유율에 머물면서 중국 시장 전체 판매순위 6위에 그치고 있다. 

삼성의 중국 스마트폰 마케팅은 중국 로컬업체들의 파상적인 공세에 밀려 상대적으로 위축된 데다 최근 갤럭시노트7 배터리 발화 악재 영향으로 새 활로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반해 로컬 업체 'OV(오포와 비보)'는 오프라인 유통과 스타 마케팅 등 젊은 감성으로 승부하며 중국 대세 스마트폰 브랜드로 확고히 자리매김한 모습이다.

중국 모바일 데이터 조사기관 지광(極光)데이터연구원이 내놓은 ‘2016년 3분기 중국 모바일 단말기 시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판매 TOP6 브랜드는 ▲오포(17%) ▲화웨이(13%) ▲비보(12%) ▲샤오미(10%) ▲애플(9%) ▲삼성(8%) 순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로컬 업체들의 약진과 설상가상으로 갤럭시노트7 악재가 돌출하면서 3분기에도 중국 스마트폰 판매 5위권에 들지 못 했다.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1~3분기 연속 한 자릿수를 나타냈다. 

오포(OPPO)를 비롯한 중국 로컬 업체들은 삼성이 고전하는 틈을 타 세계 최대 규모인 안방 시장에서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점유율을 눈덩이처럼 늘려가고 있다.  

특히 오포는 지난 상반기만 해도 화웨이에 뒤처졌으나 올 3분기 중국 판매량 1위로 뛰어 올랐다. 오포는 지난 3분기 중국에서 1504만대의 스마트폰을 팔아 화웨이(1483만대)를 누르고 ‘판매왕’에 등극했다.

이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R9의 견조한 판매량에 힘입은 결과로 풀이된다. R9은 지난 3월 출시 이후 88일만에 판매량 700만대를 돌파하며 ‘오포 신드롬’에 힘을 실어줬다. 최근에는 업그레이드 버전인 R9s까지 출시된 상태다.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Counterpoint)가 내놓은 최신 수치에서는 ‘OV(오포와 비보)’가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나란히 업계 1, 2위에 올랐다. 오포는 시장 점유율 16.6%, 비보는 16.2%를 나타냈다.

화웨이와 샤오미는 각각 시장 점유율 15.6%, 10.6%를 기록하며 업계 3, 4위에 그쳤다. 이중 화웨이는 지난 상반기까지만 해도 중국 시장에서 1위를 달리고 있던 터라 업계에선 ‘이변’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물론 글로벌 판매량에서는 화웨이(3위)가 여전히 오포(4위)를 앞서고 있다. 다만 화웨이의 성장세는 살짝 꺾인 반면 오포는 꾸준하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가는 추세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는 2분기보다 10% 많은 스마트폰을 출하했지만, 플래그십 스마트폰 P9의 판매량이 기대에 못 미치면서 시장 점유율이 지난 2분기보다 0.1%포인트 감소한 9.1%를 기록했다.   

반면 오포의 경우, 3분기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지난 분기보다 0.5%포인트 증가한 6.1%를 나타내며 저력을 발휘했다.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1위는 여전히 삼성전자에 돌아갔다. 다만 시장 점유율은 2분기(24.3%)보다 2%포인트 밀린 22.3%를 기록했다. LG전자는 시장 점유율 5.7%로 2분기에 이어 글로벌 판매 5위를 유지했다.

◆ 삼성, 중국 내 고객충성도 급락...주고객 연령층 낮춰 이미지 쇄신 필요

삼성전자는 중국 토종 브랜드의 약진에 맞서 지난 9월 1일 중국에서 야심 차게 갤럭시노트7(이하 ‘갤노트7’)을 출시했으나 배터리 발화 악재로 인한 사상 초유의 단종 사태를 맞이하면서 더욱 고전을 면치 못 하는 모습이다.

지난 11일 삼성 중국법인은 중국 본토에서 판매된 갤노트7 19만984대를 전량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에서는 갤노트7 악재로 인해 최대 반사이익을 얻을 기업으로 화웨이가 거론되고 있다. 지광데이터연구원에 따르면, 삼성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중국 소비자의 20% 정도가 새 제품을 살 때 화웨이 스마트폰을 택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지난 1분기까지만 해도 중국 내 삼성 스마트폰 유저 중 21%가 아이폰을  구매할 것이라고 답했지만, 이 수치는 3분기에 이르러 9%로 떨어졌다.  

계속해서 삼성 스마트폰을 사용할 것이라고 답한 중국 소비자는 14.4%에 그쳐 최저 수준의 고객 충성도를 나타냈다.

현지 업계에서는 삼성이 보다 젊은 이미지로 중국 소비자에게 어필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지광데이터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내 삼성 스마트폰 유저의 주요 연령대는 30~39세로, 살짝 중년층에 편향돼 있다.

반면 요즘 중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OV(오포와 비보)의 경우 주요 연령층이 25~29세다. 20세 이하 소비자 비중도 높은 수준이라 향후 5년 내에 이 소비층이 스마트폰 소비 주축 세력으로 떠오르면 OV의 성장세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관측된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