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지완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대로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면 미국 수출 비중이 큰 중국·멕시코·베트남·한국 등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반면 거대한 내수시장을 확보한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은 안전한 투자처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의 지난해 대미수출 흑자 규모는 120억달러로 아시아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심태용 미래에셋대우 인도네시아법인 리서치센터 팀장은 "인도네시아는 대미 수출비중과 GDP 대비 무역수지 흑자 비중도 제한돼 있어 미국의 보호무역에 1차 타깃이 아니다"면서 "조세사면법, 인프라 확대정책 등 조코위 정부는 2억5000만 인구를 이용해 내수시장 확대를 주요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어 트럼프 쇼크가 여타 이머징국가와 비교해 최소화 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KB아세안펀드는 인도네시아 편입비중이 24.97%로 아세안펀드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으로 투자하고 있다.반면 미래에셋운용의 아세안셀렉트는 인도네시아 편입비중이 15.77%에 불과했다. 인도네시아 주식형펀드는 NH-Amuni Allaet인도네시아펀드와 상장주식형펀드(ETF) 'KINDEX 인도네시아'가 있다.
인도는 중국과 차별화된 점이 최대 무기다. 트럼프 당선자는 중국에 환율 제재국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물론 3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수차례 공언했다.
윤항진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인도는 대미 무역 최대 흑자국인 중국과 수출품목이 거의 겹치지 않는다"면서 "미국내 품목별 수입규제가 강화된다면 인도는 규제를 피해 나갈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도의 주요수출품은 귀금속, 광물, 목화, 곡물 등으로 중국의 제조업 공산품과 구분된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인도주식형펀드는 삼성인디아중소형FOCUS펀드는 올해 11.88% 수익률을 기록한 삼성인디아중소형FOCUS펀드를 비롯해 총 25개의 펀드가 연초이후 9.02% 평균 수익률을 올렸다.
브라질 국채도 안전한 투자처로 꼽히고 있다. 신환종 NH투자증권 글로벌크레딧 팀장은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글로벌 교역 감소 등으로 브라질 성장률은 더 악화될 수 있다”면서 “기업실적은이 더욱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브라질 채권이 가장 매력적인 투자대상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신 연구원은 ▲브라질의 대미 수출 비중 12% ▲ 외환보유고 3700억달러 이상 ▲ 달러채권 발행비율이 5% 이하 등을 근거로 브라질국채의 조정시 매수를 권했다.
◆ 베트남·멕시코·중국·한국·필리핀 등은 트럼프 리스크에 노출
베트남은 트럼프 당선으로 인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베트남 섬유 및 의류 수출의 60%는 미국을 비롯한 TPP 국가로 향한다. 베트남은 지난해 302억달러의 대미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의 276억달러보다도 많다.
부쑤언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베트남은 TPP 무산 위기에 봉착한 만큼 대형 악재로 인식해야 된다"면서 "특히 섬유산업의 성장 모멘텀 훼손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2년뒤 TPP가 발효되면, 20% 관세를 적용받던 미국행 섬유수출 제품의 70%가 즉시철폐 혜택을 볼 수 있었다.
지난 몇 년간 베트남 경제성장을 주도한 것이 제조업과 섬유산업이라는 점에서 증시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베트남증시는 전일 트럼프 후보 당선이 확정되자 장중 한때 2.92%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극대화 됐다.
멕시코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전체 수출의 81%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 트럼프 후보는 NAFTA를 철폐하고 자동차 관세를 35%까지 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신한BNPP봉쥬르중남미펀드를 비롯해 중남미펀드 대부분 멕시코 투자비중이 약 30% 내외를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멕시코가 대미 무역에서 흑자규모가 세번째로 많이 내고 있다는 점에서 불안하다.
필리핀 역시 트럼프 당선으로 투자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김성준 삼성자산운용 글로벌주식운용팀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두테르테 대통령은 미국과의 단절을 선언하고 완전한 친중으로 돌아섰다"면서 "정치적인 이슈가 경제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필리핀은 아세안펀드내에서 7.02~18.52% 비중으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국내주식형펀드 역시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대형주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우려가 높다.
반면, 기준환 JP모간자산운용 본부장은 “제조업에 기반한 수출 중심의 국가들이 보호무역 강화에 최대 피해국으로 거론되지만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이들 국가들은 대체적으로 외환보유고가 많아 대외악재에 버틸만한 여력이 있어 원자재 중심의 이머징 국가들보다 우위에 설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김지완 기자 (swiss2pa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