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유동성·트럼프 내우외환 中채권시장 '암흑기' 도래

기사등록 : 2016-11-21 10:3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 대외환경 모두 채권시장에 불리
채권 시장 거품 붕괴 우려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17일 오전 09시44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 채권시장이 유동성 압박과 '트럼트 충격'의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시장에선 중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3%를 넘어서는 등 본격적인 채권 불황장이 시작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구주(九州 주저우)증권 정하이칭(鄭海淸) 애널리스트는 중국 채권시장의 흐름을 결정지을 2대 요인으로 ▲ 인민은행의 유동성 흡수와 시중 유동성 긴장 ▲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인한 중국 국채수익률 상승을 꼽았다. 두 가지 핵심 요인 모두 채권시장엔 매우 불리한 내용이다.

◆ 중국 중앙은행 통화기조 전환, 채권시장 조정기 진입

완화 기조 통화정책을 펼쳐왔던 인민은행의 '태도'에 변화가 감지된 것은 올해 8월 말이다. 그러나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채권시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은 10월 하순부터다.

인민은행은 지난 8월 7개월만에 14일물과 28일물 역RP 거래를 재개했다. 중장기 유동성을 공급하는 대신 단기 유동성은 대규모 회수에 나서며 사실상 시중 '돈줄죄기'에 나섰다.  이런 정책에는 부동산 과열 등의 우려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같은달 24일에는 창구지도를 통해 단기 자금 유동성 축소를 주문하기도 했다. 인민은행이 돌연 유동성 흡수 제스처를 취했지만, 유동성 긴축 규모가 예상보다 크지 않아 채권수익률은 오히려 하락하는 등 채권시장은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

9월들어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금리(ROO7)가 요동치기 시작했지만 시장은 분기말에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10월 중순 시중 유동성 긴축 현상이 가시화되면서 R007의 금리가 치솟기 시작, 3%대를 돌파했다. 10월 말로 접어들자 채권시장이 술렁이기 시작했고, 채권수익률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10월 28일 중앙정치국 회의 통화정책 내용에서 처음으로 "자산거품 억제와 금융리스크 예방"이 언급됐다. 11월 8일 인민은행 3분기 통화정책 회의에서도 처음으로 "단기 거래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거래 기간이 짧은 상품의 리스크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히자 채권시장의 조정세가 빨라졌다.

트럼프 충격, 대내 악재에 대외 악재 더해

트럼프 당선 직후 전세계 대다수 경제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백악관 입성으로 리스크 회피용 안전자산 가격이 오르면서 미국 국채수익률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중국 채권시장에는 '반가운' 소식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당초 예상이 점차 빗나가고 있다. 대 중국 정책 부문에서도 원래의 걱정과는 다른 발언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45%의 징벌적 관세를 부고하겠다고 위협해 왔다

그러나 고문 Wibur Ross는 "위안화 가치가 실제보다 45% 낮게 형성될 경우에만 미국은 중국 수입품에 4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중국을 다소 안심시켰다.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장 제임스 울시(James Woolsey)도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반대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며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경제벨트) 정책을 긍정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중국의 대외확장 정책에 우호적인 표현을 하기도 했다. 

트럼프 정권의 정책 노선이 갈수록 명확해지면서 글로벌 리스크 자산의 가격은 올라가고 안전자산 가격은 오히려 하락하고 있다. 리스크 회피 심리가 약해지고,'트럼프발 인플레이션' 우려 확산으로 미국 국채수익률이 껑충 뛰었다. 10년물 미국 국채수익률은 최근 1.8%에서 2.2% 수준으로 상승했다.

미국 국채수익률 급등은 글로벌 채권 수익률 상승을 유발했고, 중국 국채도 '충격'을 면하지 못했다. 

 ◆ 채권 시장 진짜 악재는 지금부터 

정하이칭 구주증권 애널리스트는 "국내 자금 사정이 다소 안정화되고, 미국 국채수익률이 단기 최고점에 이르자 일부에서는 중국 채권 시장의 악재가 다 소화되고 있다는 견해가 있지만 진짜 악재는 아직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 채권시장의 '진짜' 위험은 레버리지와 듀레이션(투자자금의 평균 회수기간) 리스크라고 밝혔다. 최근 채권시장 호황 기간 시장 내의 레버리지 비율이 급증했다. 쉽게 말해 돈을 빌려 채권에 투자한 투자자가 많았다는 것. 당시 조달금리가 장기간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돈을 끌어다 채권에 투자했는데,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평가손실이 발생하면서 시장의 거품이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듀레이션 리스크도 연장선상에도 볼 수 있다. 단기 자금을 끌어다가 듀레이션이 긴 장기채권을 산 경우가 많은데, 금리가 급등하면 몇 년 전 WMP 시장의 큰 혼란을 야기했던 '미스매칭' 문제가 채권 시장에서 재연될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