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정주환 카카오 부사장 "O2O 플랫폼 개방…전략적 투자 검토"

기사등록 : 2016-11-24 15:44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교통 인프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 생활 서비스 잇는 'O2O 플랫폼' 주축

[뉴스핌=이수경 기자] "생활 영역에서 뛰어난 O2O 사업자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기술 인프라 구축과 홍보 채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걸 알게 됐다. 카카오는 이러한 사업자를 위해 카카오 플랫폼을 개방하고, 필요하면 전략적 투자에도 나설 계획이다."

정주환 카카오 부사장은 24일 구글 캠퍼스 서울에서 열린 '캠퍼스 토크 : O2O 스타트업 with 플랫폼' 공개 포럼에 발표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정주환 카카오 O2O사업부문 부사장이 24일 구글캠퍼스 서울에서 열린 '캠퍼스 토크 : O2O 스타트업 with 플랫폼'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카카오가 O2O 영역에 발을 들인 건 2, 3년 전부터다. IT기술의 발달로 많은 모바일 플랫폼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전세계적으로 호출하는 즉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념의 '온디맨드 이코노미'가 부상한 시기이기도 하다.

정 부사장은 "전문가, 시설, 서비스 등을 보다 쉽게 찾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들이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라고 생각했다"며 "가장 먼저 이동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 집중하면서도 머리를 깎거나 설거지를 하는 등 서비스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많은 기회가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동 맥락에서 편리함을 주는 서비스를 잇달아 출시했다. '카카오택시'와 '카카오드라이버'를 통해 서비스 수요자와 공급자를 효과적으로 매칭하는 데 주력했다. 서울버스나 지하철 내비게이션은 인수 후 각각 '카카오버스’와 '카카오지하철’로 개편, 이동 수단에 대한 실시간 정보 제공에도 힘썼다.

정 부사장은 "사실 이동이라는 건 어딘가 약속이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2차 소비지로 연결되는 경험을 포착했다"며 "이동 맥락에서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겠다는 판단에서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를 강조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날 정 부사장은 카카오 O2O 사업의 또 다른 한축인 O2O 플랫폼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다.

정 부사장은 "혁신을 갖고 O2O 시장에 진출한 파트너사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며 "카카오는 이들 서비스가 더 쉽게 발견되고 연결될 수 있도록, 사람들은 생활 속 불편함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방향 플랫폼으로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O2O 플랫폼이 '카카오 게임하기'처럼 플랫폼에 입점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것이 정 부사장의 설명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지분 투자 방식도 병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 부사장은 그는 "카카오헤어샵(하시스), 카카오파킹(파킹스퀘어) 등 지금까지 투자해왔던 프로젝트는 전략적 투자 방식으로 진행해 왔다"며 "새로운 비즈니스를 하기 위한 리소스 투자에 대해 내부적으로도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정 부사장은 "O2O 플랫폼과 스마트 모빌리티를 주축으로 스마트 모바일 라이프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O2O 스타트업과 플랫폼 기업 간 소통과 협력을 위해 마련됐다. 정 부사장 외에 김종윤 야놀자 부대표를 비롯해 민경환 구글플레이 상무, 전재규 아마존웹서비스 상무, 노재욱 NHN한국사이버결제 이사, 장혜덕 구글 클라우드 총괄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국내 O2O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생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기술적 인프라나 홍보 채널을 갖춘 플랫폼 사업자와 협업하는 생태계 구축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공통된 의견을 제시했다.

김 부대표는 "크기가 작은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외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시대"라며 "나 혼자가 아니라, 다른 O2O 기업과 플랫폼 사업자와 힘을 합쳐 고도화된 서비스를 선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수경 기자 (sophi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