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12일 오후 3시56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동훈 기자] 국내 건설업계 '최대어'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난항이다. 이에따라 대우건설 매각은 빨라야 내년 말 본격화할 전망이다.
대우건설의 회계 부실 논란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어서다. 연말 감사보고서를 통해 ‘감사의견 거절’ 논란이 일부 잦아들 수 있지만 해외 저가 사업장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분식회계 논란은 계속될 공산이 크다. 사업 불확실성을 해소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셈이다.
투자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산업은행 입장에선 매각을 서두르기보단 충분한 시간을 갖고 인수 후보군을 물색할 것이란 게 업계의 시각이다. 내년에도 대우건설 주가가 지지부진할 경우 사모펀드의 재연장도 유력하다. 일각에선 매각이 수차례 유찰될 경우 대우건설을 2~3개로 쪼개 매각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12일 건설 및 금융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대우건설 매각 시기를 내년 말 이후로 늦추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 광화문에 있는 대우건설 본사 모습,<사진=이동훈기자> |
산업은행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내년 초 매각 공고를 내고 조기에 인수합병(M&A)을 진행다는 예정이었지만, 회계 리스크로 추진 시점을 다소 늦출 전망”이라며 “매각 실사가 사실상 내년 2분기께로 늦춰진 데다 인수 후보군을 찾기도 어려워 실제 매각공고는 내년 말쯤 이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우건설 주가가 지금처럼 부진할 경우 산업은행이 보유한 사모펀드를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우건설은 지난 3분기 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을 받아 기업 신뢰도가 크게 추락했다. 담당 회계법인이 평소보다 깐깐한 잣대를 제시해 이런 결과가 불거졌지만, 대우건설도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책임은 피할 수 없다. 연말 감사보고서를 통해 회계 리스크를 일부 해소해도 업계 안팎으로 퍼진 부실 불확실성을 완전히 걷어내기엔 시간이 필요하다.
인수에 관심을 보이는 기업도 뚜렷하지 않다. 금호산업과 산업은행이 잇달아 대우건설을 품에 안았지만 경영 시너지 및 기업 정상화는커녕 수천억원대 손실을 봤다. 이른바 승자의 저주가 발생할 것. 게다가 몸값이 1조원이 넘다 보니 인수에 관심을 보인 기업은 아직 없다.
흥행 가능성이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매각에 나설 경우 유찰에 따른 기업가치 훼손은 모두 산업은행이 떠안아야 한다. 매각 공고 전 충분한 시장 조사가 필요한 이유다.
대우건설의 주식 가치가 최근 급락한 것도 부담이다. 산업은행은 2010년 말 대우건설을 인수했다. 지분 50.75%(2조2000억원)와 유상증자(1조원)를 포함해 투자액은 총 3조2000억원이다. 주당 인수가격은 1만5000원 수준. 하지만 12일 현재 대우건설의 주당 가격은 5200원대에 머물러있다. 경영 프리미엄을 얹어도 투자금의 절반 정도를 날릴 판이다.
이렇다 보니 내년 10월 만기 예정인 사모펀드를 한 차례 연기할 것이란 목소리가 있다. 지난해 10월 산업은행은 5년 기한이 만료된 이 펀드를 2년 연장했다. 작년에도 산업은행은 대우건설의 분식회계 논란 등으로 투자 손실이 커지자 매각을 중단했다.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연구원은 “회계 리스크가 불거진 데다 해외실적이 부진해 인수전에 뛰어들 기업이 마땅찮은 게 현실”이라며 “최근 급락한 주가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경기 불투명성과 건설업황 부진에 몸값을 낮춰야 M&A에 활기가 돌 것이란 진단을 내놓고 있다. 이를 위해 대우건설을 해외, 주택사업 등 2~3개 부문으로 쪼개 새로운 주인을 찾는 방안도 제기됐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내년 대우건설의 지분을 팔겠다는 의지가 강하지만 현재로썬 기업의 불투명성이 너무 커 매각 작업에 난항을 예상한다”며 “국내 단일 기업보다는 재무적 투자자(FI)가 최종 인수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인수가격이 1조5000억원이 넘는 만큼 회사를 부문별로 2~3개로 쪼개 매각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