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위안부합의 1년①] “나마저 죽으면 어쩌나?” 39명 할머니들의 절규

기사등록 : 2016-12-15 14:1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기침만 해도 폐렴 걱정...나눔의 집 할머니들 대부분 고령
“위안부 문제 잊혀질까 두려워” “젊은이들이 많이 알아줬으면”

[뉴스핌=황유미 기자] 또 한분이 돌아가셨다. 이제 39명 밖에 남지 않으셨다. 슬퍼할 힘조차 없는 것일까.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계신 경기 광주 나눔의 집. 서로를 의지하며 살았던 나날이지만, 한분 한분 떠나는 현실에 가슴이 더 먹먹해질 뿐이다.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위치한 '나눔의 집'. 마당에는 소녀상을 둘러싼 5개의 돌아가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흉상이 있다.

지난해 말, 이 곳 나눔의 집에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한일 위안부 합의가 그것이다. 일본의 사죄를 이끌어내기 위해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펼친 수요시위만 1000번이 넘는다. 돈으로 위로해 달라고 외친 게 아니다. 상처입은 몸과 마음을 보듬어 달라는 것이었다.

7일 ‘나눔의 집’에 발을 내디디자 광장 계단이 끝나는 곳에 소녀상과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흉상 5개가 놓여 있었다. 김정숙 나눔의집 사무국장은 이 흉상을 보면서 할머니들이 힘을 얻는다고 했다.

그러던 중 박숙이 할머니가 6일 오후 별세했다. 박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39명으로 줄었다.

할머니들의 의지와 달리 진행된 한일 합의로 피해 할머니들이 또다시 상처를 입은 가운데, 할머니 한분 한분이 세상을 등지자 살아계신 할머니들의 걱정은 더 커진다.

할머니들은 절대 이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먼저 가신 할머니들에게 죄를 짓는 것 같아서라도 그렇다. 상처를 치유하지 못한 채 이뤄진 합의를, 할머니들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흉상은 할머니들이 모두 돌아가신 뒤에도, 아픈 역사를 후손들에게 알려줄 할머니들의 소중한 기억이자 유산이다.

정갈하게 한복을 입고 편안하면서도 결연한 표정을 짓고 있는 흉상. 생존해 계신 할머니들은 이미 가신 할머니들의 몫까지 다 짊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신다.

나눔의 집 내 '위안부 역사관'에 걸려진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액자.

김정숙 사무국장은 “돌아가신 할머니들이 ‘나 가고(죽고) 나면 어쩌나’ 라는 얘기를 많이 하셨어요. 남은 할머니들이 외롭지 않게, 돌아가신 할머니들이 함께 한다는 기분을 느끼실 수 있도록 나눔의 집 내 할머니들 흉상을 만든 것입니다”고 설명했다. 살아계신 할머니들이 명예회복을 위해 싸우실 때 힘을 보태기 위해서다. 

마당 한켠에는 고(故) 강덕경 할머니 1주기 추모비가 자리잡고 있었다. 사무실 뒷편에도 8개의 추모비가 자리를 지켰다. 추모비 아래에는 흰색과 빨간색의 조화(造花)가 놓여있었다. 꽃다운 나이에 피지 못했던 할머니들의 한을 상징하는 것 같았다. 오랫동안 기억해 달라고 말하는 것 같기도 했다. 

1~4관으로 구성된 ‘위안부 역사관’에는 일본군이 사용했던 군표, 징집에 관련된 서류와 위안소 사진 등 피해의 증거들이 가득했다. 할머니들은 영상 속에서 자신들이 겪은 일을 담담하게 전했고 때로는 울먹였다.

그래도 할머니들은 밝은 모습으로 기억되길 원했다. 역사관 입구와 출구 주변의 사진 속 할머니들은 모두 웃음을 머금었다. 바닷가에서 손가락으로 어설픈 ‘브이(V)’ 모양을 만든 채 서 있는 강일출 할머니, 아이스크림과 뻥튀기 과자를 손에 쥔 채 카메라를 향해 함박웃음을 짓는 이옥선 할머니, 마치 소녀 같았다.

김 사무국장은 “우리 할머니들도 일반 할머니들과 다르지 않아요. 행복하고 즐거우실 권리가 있습니다. 당시의 트라우마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지만 조금씩 밝아지시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지난 7일 제1260회 수요집회가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중학생을 포함한, 대학생, 극단 '고래' 등이 참석했다. 전날 돌아가신 박숙이 할머니의 영정 사진이 놓여 있다.

사진 속 밝고 경쾌한 모습과 달리 ‘나눔의 집’은 조용했다. 할머니들의 건강을 위해 겨울에는 외부와 접촉을 막기 때문. 취재도 최소한으로 제한하고 외부인의 방문도 자제시키는 편이었다.

생활관의 반쯤 열려진 창문으로 보이는 병상 3개와 휠체어, 서랍장 위에 놓인 약상자 등은 할머니들의 건강을 짐작하게 했다.

현재 이곳에 머무는 10명의 할머니들 중 6명이 침대에서 생활하실 정도로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한 편이다. 빨래, 청소를 하셨지만 현재 간병인 3명이 머물면서 할머니들의 일상생활을 돕고 있다.

나눔의 집 할머니들은 아침에 일어나 종종 “오늘도 눈 떴네?”라고 말한다고 한다. 고령인 할머니들의 가장 큰 걱정은 위안부 문제가 잊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김 사무국장은 “할머니들이 살아계신 지금도 역사가 왜곡돼 있는데 나중에 어떻게 될지 걱정된다는 말씀을 자주 하세요. 그래서인지 젊은이들이 나눔의 집을 찾는 것을 가장 기뻐하십니다”고 말했다.

이런 할머니들의 바람처럼 나눔의 집을 방문한 젊은이들의 흔적을 사무실과 역사관 곳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 ‘할머니들을 응원합니다’, ‘할머니들의 아름다운 미소를 볼 수 있는 그 날이 오길’, ‘기억하고 잊지 않겠습니다’. 할머니들을 기억하겠다는 사랑과 응원의 메시지가 할머니들에게 큰 힘이다.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은 “할머니들은 위안부 문제를 개인의 문제로 생각하지 않으십니다. 우리 전체의 슬픈 역사니 반드시 똑바로 기억해야 한다며 젊은이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알려주려고 하세요. 위안부 사건과 지난 위안부 협상이 잘못됐다는 것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고 말했다.

지난 7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1260회 수요집회가 열렸다. 많은 젊은들이 참석했다. 그들은 전날 돌아가신 박숙이 할머니의 영정 앞에 꽃을 놓고 할머니를 애도했다. 그리고 이 아픔을 전달할 것을 약속했다.

김영원(여‧경인교대4)씨는 자유발언을 통해 “강단에서 학생들에게 위안부에 대해 알릴 것이다”며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자신의 자리에서 이 사건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것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할머니들을 기억하기 위해 여기 모인 많은 분들을 보니 희망이 느껴진다”고도 했다.

 

[뉴스핌 Newspim] 황유미 기자 (hum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