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2017 산업전망] 반도체 대세는 '낸드'..디스플레이는 '올레드'

기사등록 : 2016-12-21 06: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스마트폰 신규 채용 확대 등 차세대 기술 수요 늘어날 듯

[뉴스핌=황세준 기자] 내년 반도체 업계는 차세대 낸드플래시 메모리, 디스플레이 업계는 플렉서블 올레드(OLED)가 화두가 될 전망이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낸드플래시 시장은 스마트폰 업체들의 저장용량이 증가하고 SSD 시장도 소비자용 PC 수요의 점진적인 회복과 채용률 및 평균 용량이 증가하면서 우호적인 수급 환경이 이어질 전망이다.

낸드플래시는 D램과 달리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반도체다.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임베디드멀티미디어카드(eMMC)를 비롯, 차세대 저장장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기업용 서버 등에 사용한다.

이에 삼성전자는 내년에 4세대(64단) 3D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본격 램프업(정상가동)한다. 4세대 낸드플래시 제품은 3세대(48단) 제품 대비 적층 단수를 30% 높여 고용량, 초소형, 고성능 저장장치(SSD)를 만들 수 있다. 또 3D낸드플래시는 단수가 높을수록 원가가 줄어든다.

4세대 3D 낸드플래시를 사용한 1TB BGA SSD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2013년 세계 최초로 V낸드(1세대, 24단)를 양산하며 3차원 메모리 반도체 시대를 개척했고 매년 적층 단수를 늘리며 프리미엄 메모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회사측은 "3D 낸드플래시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3분기 글로벌 시장점유율 36.6%로 1위를 차지했고 연말에는 15년 연속 1위를 달성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기존에 HDD로 구성한 컴퓨터 시스템을 SSD로 대체하면 시스템이 차지하는 물리적인 공간을 약 1/40로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20년까지 100TB이상 초고용량 SSD를 개발해 테라 SSD 대중화를 선도하고 데이터센터와 기업용 스토리지 SSD 시장을 지속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3D 낸드플래시 시장은 상반기까지 사실상 삼성전자의 독점생산으로 수급호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도 낸드플래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올해 2분기부터 생산을 시작한 2D 구조의 14나노 제품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동시에 48단 3D 제품을 연내 판매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4세대(72단) 제품 개발을 완료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할 방침이다.

회사측은 48단 3D 낸드플래시를 전량 모바일쪽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256GB 이상의 모바일 수요를 노린다.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의 낸드플래시 성과가 내년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 집계결과 SK하이닉스는 지난 3분기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점유율 10.4%(매출기준)로 미국 마이크론을 추월해 4위다. 
 
■애플 차세대 아이폰에 OLED 채용.. 업계 증설 중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애플 차세대 아이폰의 OLED 디스플레이를 채용이 핫이슈다. 삼성·LG디스플레이는 수요에 대비한 증설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OLED는 LCD와 달리 백라이트 없이도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자연에 가장 가까운 색을 표현해 낼 수 있고 LCD보다 얇기 때문에 폴더블 폰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만드는데 용이하다.
휘어지는 OLED 디스플레이 <사진=삼성디스플레이>
 
JP모간은 내년 출시될 3개의 아이폰 모델 중 하나는 OLED를 사용하고 전체 공급량은 70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분석기관 유비산업리서치는 현재 스마트폰용 올레드 디스플레이의 경우 삼성디스플레이가 91%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데 패널 출하량이 연평균 성장률 41%로 2020년까지 약 14억대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중국 CSOT의 11세대 LCD 라인에 3500억원을 투자해 지분 9.8%를 확보했다.이는 대형 TV용 LCD 패널의 안정적 공급처를 확보하는 동시에 향후 플렉서블 올레드 투자에 집중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김동원 현대증권 연구원은 "삼성디스플레이는 사업구조를 올레드 중심으로 전환 중"이라며 "올해 1분기부터 이미 LCD 라인 폐쇄, 플렉서블 OLED 신규 생산능력 확대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LG디스플레이도 LCD 라인을 올레드로 전환투자하는 등 올레드 매출 비중을 확대하는 중장기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 회사는 내년 2분기까지 LCD 생산설비를 대형(8세대) 올레드로 전환해 월 생산량 2만6000장 추가할 예정이다.
 
동시에 내년 2분기까지 (스마트폰용) 6세대 OLED 라인을 증설해 월 생산량을 7500장에서 1만5000장으로 늘린다. 2018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파주에 월 1만5000장짜리 6세대 OLED 생산시설도 새로 짓는다.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는 아울러 용액(솔루블) 형태의 OLED 발광재료를 기판 위에 얹는 잉크젯 프린팅 기법을 개발 중이다. 수증기를 이용하는 기존 증착방식 대비 솔루블 방식은 재료 낭비가 거의 없어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