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2017년 신흥국 투자 중국보다 인도, 이유는

기사등록 : 2016-12-25 06:2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국제 무역 불확실성..외풍에 강한 곳에 투자하라

[편집자] 이 기사는 12월 24일 오전 06시0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가 이머징마켓 자산의 투자 매력을 떨어뜨렸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투자은행(IB) 업계에 2017년 투자 기회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분주하다.

투자자들은 외부 여건이나 해외 수요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이 유망하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공식 취임하면서 보호 무역주의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할 경우 글로벌 교역이 위축될 수 있고, 이는 주식부터 외환까지 자산신장의 수익률과 직간접적으로 맞물린다는 얘기다.

인도 루피화 <사진=블룸버그>

이를 근간으로 판단할 때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매력적이라는 평가다. 이와 달리 중국과 한국은 비중을 축소해야 한다는 것이 IB 업계의 판단이다.

내년 외환시장에서 인도 루피화와 인도네시아의 루피아화가 이머징마켓 통화 가운데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미즈호가 두 가지 통화의 동반 강세를 점쳤고, BNP 파리바는 루피아화의 매수를 권고했다.

미즈호는 인도 경제가 탄탄한 펀더멘털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판단했다. 이 때문에 해외 자금이 밀려들면서 루피화의 평가절상을 이끌어낼 것이라는 관측이다.

BNP 파리바는 상품 가격 상승 가능성과 고금리를 근거로 들어 루피아화의 상승을 예상했다. 같은 배경으로 인도 루피화 역시 상승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면 중국 위안화와 한국 원화는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모간 스탠리와 소시에테 제네랄이 내년 원화 하락을 점쳤고, 크레딧 아그리콜이 위안화 약세를 전망했다. 내년 중국의 경상수지 적자 확대로 위안화가 4% 이상 떨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미즈호도 중국 위안화가 신흥국 통화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한국 원화의 약세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신흥국 채권시장에서도 내년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현지 통화 표시 채권이 유망하다는 평가다.

침통한 중국 트레이더들 <출처=블룸버그>

HSBC 글로벌 애셋 매니지먼트는 경제 펀더멘털과 탄탄한 해외 수요, 여기에 최근 가격 급락에 따른 저평가 등 인도네시아 현지 통화 국채가 커다란 투자 매력을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무역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중국의 성장 둔화 가능성이 관련 채권의 투자 매력을 더욱 높인다는 주장이다.

웨스턴 애셋 매니지먼트 역시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채권을 추천했고, 모간 스탠리도 인도네시아 채권이 유망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파이오니어 인베스트먼트도 인도와 인도네시아 채권에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제시했다. 양국의 경제 개혁과 성장률 향상 및 상대적인 고금리가 훌륭한 투자 토양을 형성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미 인도네시아 국채 시장으로 글로벌 자금이 무려 76억4000만달러 몰려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주식 투자와 관련해서도 글로벌 IB들은 인도와 인도네시아에 표를 던졌다. 한국 증시에 대한 의견은 엇갈렸다.

IG 아시아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필리핀 증시가 유망하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무역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이들 국가가 탄탄한 내수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상대적인 투자 매력과 안전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CLSA와 BNP파리바 역시 내년 인도 주식시장의 투자 비중을 확대할 것을 권고했다.

한국 증시와 관련, IG 아시아는 비관론을 제시했다. 경제성장률이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정치권 리스크 역시 자산 시장에 악재라는 지적이다.

반면 크레디트 스위스(CS)는 한국과 중국 및 인도네시아 증시에 대해 낙관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매크로 경제 여건과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상승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 이와 함께 글로벌 주요 펀드 내 포트폴리오 비중이 낮은 점도 해외 자금의 유입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