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계란 이어 소주·식용유까지..밥상 물가 비상

기사등록 : 2017-01-04 09:4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AI 파동에 계란값 급등..업소용 식용유도 인상
밥상물가, 6년만에 최고치.."상승세 이어질듯"

[뉴스핌=이에라 기자] 최근 계란값 폭등 속에 서민생활을 대표하는 식품값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지난해부터 라면, 빵, 소주값 인상이 이어졌고, 최근 들어는 콩기름용 대두 수급 차질에 업소용 식용유 값도 뛰었다. 이 가운데 밥상물가를 대변하는 신선식품지수가 6년만에 최고치로 뛰며 소비자들을 휘게 만들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부터 계란, 라면, 소주, 맥주 등 식품값이 거침없이 오르고 있다.

먼저 AI사태가 한달 이상 지속되면서 단기간에 계란값이 폭등했다. 전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한국계란 한판(특란, 30개)의 가격은 8389원으로 한 달 전 5604원 대비 약 50%나 올랐다. 소비자들이 직접 구매하는 계란도 한달새 20%나 뛰었다. 롯데마트와 홈플러스는 지난달에만 네차례 계란값을 인상했다.

대표적인 서민음식인 라면도 들썩이고 있다. 업계 1위 농심은 라면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5% 인상할 방침이다. 가격인상이 예고된 브랜드는 전체 28개 중 18개로 절반이 넘는다. 신라면은 780원에서 830원, 너구리는 850원에서 900원으로 올랐다. 삼양식품도 라면 값 인상 여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계란을 구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보다 앞서 주류 및 음료와 빵가격도 올랐다. 오비맥주는 주요 맥주 제품의 출고가를 약 6% 코카-콜라음료는 코카콜라와 환타 등 2개 탄산음료 브랜드 출고가를 평균 5% 올렸다. 파리바게뜨도 생크림 케익 등 일부 품목에 대해 평균 가격을 6.6% 인상했다.

편의점에서 파는 소주와 맥주 가격도 인상을 앞두고 있다. 빈 소주병과 맥주병 보증금이 각각 40원에서 100원, 50원에서 130원으로 크게 오르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무학의 '좋은데이'는 1600원에서 1700원으로 오르고 '참이슬'과 '처음처럼'도 1700원으로 인상된다.

최근에는 업소용 식용유 가격이 오르며 돈까스집이나 치킨집 등이 부담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콩기름의 주 원산지인 아르헨티나에서 발생한 홍수로 인해 대두 수급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롯데푸드와 오뚜기 등은 이미 업소용 식용유 값을 9% 수준 올렸다. CJ제일제당도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사이에 7~8% 올릴 예정이다. 향후 대두 수급 상황에 따라 가정용 식용유 가격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가계에 부담을 주는 밥상물가는 6년 만에 최고수준까지 오른 상황이다. 지난해 신선식품지수는 6.5% 급등하며, 2010년 21.3%를 기록한 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라면이나 빵 같은 대표적 서민음식이라 가격 인상도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면서도 "계란값이 폭등하면서 재료값 인상을 반영한 과자나 라면 빵 가격 등의 인상이 당분간 이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