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세월호1000일] 팽목항 '기억의 벽', 슬픔의 벽에서 희망의 벽으로

기사등록 : 2017-01-09 09:5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기억의 벽' 1년9개월…여전히 팽목항서 세월호 추모객 맞이
타일 4600장에 국민들 분노와 슬픔, 기억, 바람까지 담겨

[진도=뉴스핌 이보람 김범준 기자] '춘사월 꽃잎 타고 오렴. 겨울지나 봄 오듯이' <진도 팽목항 '기억의 벽' 메시지 중>

진도 팽목항에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기억하자는 취지의 '기억의 벽'이 지난해 만들어졌다. <사진=이보람 기자>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1000일을 맞은 9일 진도 팽목항에서는 세월호를 추모하는 '기억의 벽'이 시민들의 발길을 맞는다.

'기억의 벽'은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난 2015년 4월 16일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와 어린이도서연구회, 한국작가회의 등이 힘을 합쳐 꾸몄다.

4656장 손바닥 크기의 네모난 타일이 방파제 안 쪽 한 면을 채운 기억의 벽. 타일에는 세월호 침몰로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부터 이들을 추모하는 전국 26개 지역 어린이와 어른들, 예술인들이 적은 글과 그림이 빼곡하다.

기역의 벽에는 세월호 참사 이후 슬픔과 분노, 희생자들에 대한 기억과 추모는 물론 1001일째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모습도 담겨 있다.

◆"미안해, 구해주지 못해 미안해"…세월호, 슬프지만 잊지 못할 기억

2년 8개월 전 304명이 물 속에 결국 가라앉고 말았다는 사실을 접한 시민들은 분노했고 슬퍼했다. 시민들은 타일에 그 분노와 슬픔을 적어내려갔다. 아이들을 지켜내지 못했다는 죄책감은 고스란히 이들을 사랑한 가족과 평범한 시민들의 몫이었다.

'좌초된 정부, 침몰한 국가', '재난의 공화국에선 생존의 기적도 없는가보다', '돌아오라고 말만 했어. 정말 미안하구나', '멋진 어른이지 못해 미안해',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합니다'

진도 팽목항에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기억의 벽'이 마련 돼 있다. <사진=이보람 기자>

그렇지만 국민들은 알고 있었다. 1년이 지나는 동안 변한 게 없다는 것을. 그래서 이들은 세월호를 잊지 않기로 했다. 타일에 가장 많이 써있는 문구였다.

누군가는 기도했다. '지나가는 세월 속에 그 '세월'만은 잊혀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7살 꼬마 지호는 '형, 누나들이 별이 됐다'고 믿는다고도 했다.

또다른 초등학생은 엄마 손을 잡고 분향소로 갔다. 그리고 타일에 적었다. '단원고 언니, 오빠들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오늘 제 마음에 노란 리본 하나를 달았습니다'라고.

아들 성원이를 보낸 엄마는 하늘로 여행보낸 아들을 가슴에 묻었고 늦둥이 딸 혜경이를 보낸 아빠는 자신의 애잔한 짝을 평생 기억하기로 했다.

◆세월호 참사 1001일째,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 제시하는 희망과 치유의 벽으로

기억의 벽은 과거에만 머물러 있지 않다. 세월호 참사는 아직 찾지 못한 9명과 진실규명, 책임자 처벌 등의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억의 벽은 대한민국이 앞으로 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로 되짚어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식은 국민들의 안전한 삶이다. 아이들은 '안전한 나라에 살고 싶다'고 적었고 또 '다시는 이런 참사가 이땅에서 없기를 바란다'고 적었다.

시민들은 이를 위해 우리 사회가 '원칙이 지켜지는 사회', 그리고 '기본과 상식이 통하는 사회'가 돼야 한다고 말한다. 사회가 이렇게만 된다면 '20년 뒤 안전강국 1위 코리아'라는 한 타일 속 문구도 가능할 지 모른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었다. 아직 9명은 돌아오지 않았고 세월호 사건의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도 남았기 때문이다.

30대 주부 권남희씨는 초등학생과 유치원생인 두 아들과 함께 "여행을 가는 길에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 나라가 되길 바라면서 아이들과 함께 팽목항에 들렀다"며 "세월호에 남은 아이들이 하루 빨리 집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진도 팽목항에 조성된 '기억의 벽'에는 희생자 추모와 함께 다시는 이같은 비극적 사건이 일어나지 않길 바라는 타일이 붙여져 있다. <사진=이보람 기자>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