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현장에서] CES 커넥티드 세상과 '데이터 교'

기사등록 : 2017-01-11 18:2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이영기 기자] "2014년의 세상은 이미 문화가 생물학적 족쇄에서 스스로 해방시키는 중이다. 우리는 외부세계는 물론, 우리의 신체와 마음까지 조작할 능력을 갖추고... 이 능력은 위험한 속도로 발달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영역의 활동이... 재검토의 대상이 되고 있다. 법률가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정체성 이슈를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으며..."

최근 베스트셀러인 유발 하라리(Yuval Harari)책 '사피엔스'의 내용이다. 욕망 자체를 설계할 기술 수준에 조만간 도달할 우리가 마주하는 진정한 문제는 '우리는 어떤 존재가 되고 싶은가'라는 것이다.

후속 책 '호모 데우스'(Homo Deus)에서 하라리는 이 문제를 계속 제기한다.

빛의 속도로 진보하는 기술은 인간을 더 이상 한계를 갖지 않는 신으로 만들어 버리고, 신이 된 인간(호모 데우스)은 새로운 종교를 만들어 낸다. 한계가 없이 많은 데이터가 무한한 믿음을 가져다 주는 '데이터 교'(Dataism)다.

하지만 미래의 개개인은 글로벌 네트워크가 매 순간 모니터링하는 하나의 '생화학적 서브시스템'에 지나지 않게 된다. 

하라리는 "이 네트워크가 매 순간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지조차 알려주게 될 것"이라면서도, '지능'이냐 '존재의식'이냐라는 문제까지 대답해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뜬금없는 '데이터 교' 얘기는 지난주 미국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전시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s)를 보면서 떠올린 것이다.

올해 CES에 차 앞유리를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로 대체하는 기술이 전시되었는데, 관련업계는 이 기술을 활용 차 앞유리를 '광고판'으로 만들 작정이란다. 운전자가 운전할 때 음식과 휴식 그리고 연료를 생각하기 마련인데, 이 운전자의 소비패턴에 맞춰 주유소나 커피숍 등을 알려준다는 것이다.

이번 CES에서 단연 인기는 커넥티드 기술이라고 한다. 전세계 기술자들이 칫솔에서부터 자동차, 샤워, 신발에 이르기까지 일상 제품을 스마트한 '커넥티드 장치'로 바꾸는데 몰두하는 것을 하라리의 통찰력을 빌리면 이상할 것이 없다.

소비자용 첨단기술 제품의 일차적 효과는 제한적이다. 하지만 커넥티드 장치의 이차적인 효과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것이 어쩌면 '브렉시트(Brexit)'나 도널트 트림프(Donald Trump) 차기 미국 대통령보다 우리사회에 더 큰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여기서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누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소유하고 사용하는가에 있다.

데이터라는 주제는 너무 진부해졌다. 그래서 '섹시한' 표현이라면서 데이터를 디지털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은 '새로운 석유'라고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데이터는 석유보다 훨씬 더 중요할 수 있다. 데이터가 점차 경제적 가치를 결정하고 권력관계를 바꾸면서 우리 삶의 가장 깊숙한 곳으로 스며들 것이다.

데이터가 우리 삶을 파고 드는 속도와 범위는 엄청나다. 시장조사업체인 가트너(Gartner)는 2016년에 하루 55억개의 커넥티드 장치가 온라인 상에서 운영됐다고 집계하면서 이 숫자가 2020년까지 총 208억개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IBM에 따르면 우리는 매일 2경5000조 바이트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세계 모든 데이터의 약 90퍼센트가 최근 2년간 만들어졌다는 의미다.

이 데이터를 사용해서 얻는 효과를 가늠하려면 역시 광고업계를 살펴보면 될 듯하다. 커넥티드 카에서 '앞유리'를 '광고판'으로 활용하려는 업계의 움직임이 이해가 가는 대목이다. 페이스북(Facebook)과 구글(Google)은 지난해 4분기에 미국에서 디지털 광고에 지출되는 신규 예산의 85%를 빨아들였다고 한다. 이는 데이터를 사용해 가장 가능성이 큰 소비자를 찾아내고 이를 대상으로 광고를 게재 할 수 있어 가능했다.

물론 커넥티드 기술은 소비자에게 커다란 이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데이터의 상용화는 하라리의 지적대로 개인의 정체성과 정보보안, 그리고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한다.

오픈 데이터 연구소(Open Data Institute) 공동설립자 나이젤 샤드볼트(Nigel Shadbolt)는 파이낸셜타임즈(FT) 팝캐스트에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인과 데이터를 소유하고 이용하는 거대 기업 간의 막대한 비대칭성에도 불구하고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며 "프라이버시를 침해한 기술로 다시 프라이버시를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 차례 혁명은 소비자들이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인의 정체성과 프라이버시를 흔들지 않는 미래를 꿈궈본다. 뜬금없는 생각을 나만 하는 것이 아니어서 다행이다. 감당하지도 못하는 큰 문제를 머리에 넣고 다닌다는 핀잔도 면할 수 있을 듯해서 개운하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