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금융개혁] 블록체인 활용 인증절차 서비스 개시

기사등록 : 2017-01-12 12: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금융위 2017년 핵심 업무계획

[뉴스핌=송주오 기자]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금융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다. 은행권에선 외국환 지정거래 변경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이용, 편의성을 높일 예정이다. 금융투자업계는 로그인과 인증절차 관리에 블록체인을 활용, 간편화한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12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2017 업무보고 브리핑'에서 이 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미래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 블록체인을 선정하고 글로벌 흐름보다 한 발 앞서 대응키로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지난해 말 금융권 공동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구성해 본격 확동에 돌입한 상태다. 금융위는 컨소시엄을 통해 공동연구와 함께 파일럿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제반사항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은행권은 고객이 외국환 지정거래은행을 변경할 경우 블록체인을 이용해 복잡한 절차를 생략하고 간편하게 처리토록 할 예정이다. 이번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내에 선보인다.

금융투자업권은 다수의 증권사와 거래할 때 각각 로그인과 인증절차를 필요로했던 절차를 블록체인으로 통합 관리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오는 3월부터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어 올 하반기께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 취급업에 대한 규율근거와 자금세탁 방지 등 거래투명성 확보를 위한 방안도 상반기 내에 마련키로 했다.

핀테크의 질적 성장을 위한 테스트베드도 시행된다. 금융위는 우선 법 개정 없이 가능한 ▲비조치의견서 ▲기존 금융사에 테스트 위탁 ▲기존 금융사 대리인 지정 등을 시행키로 했다. 이후 성과 추이를 지켜보며 범위를 확대한다.

이와 함께 핀테크 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한다. 핀테크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별 교육과 지원을 늘리고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 제공을 확대한다. 또 미래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을 강화하고 핀테크 지원기관 전체를 포괄하는 민관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융위는 핀테크 업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규모를 오는 2019년까지 3조원 가량 투입하기로 했다. 지난해 지원 규모는 5000억원이었다.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도 수행한다. 상반기 내 한국신용정보 보유 정보의 2%를 샘플링해 비식별 정보의 표본연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 및 제공한다. 또한 신용정보사와 지역신용보증재단 등이 보유한 금융·비금융정보의 DB도 결합, 분석해 신용정보원의 분석기능을 높인다.

금융위는 올해 1분기 내에 '2단계 핀테크 발전 로드맵'을 통해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