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기자수첩] 중국의 유치한 보복에 우는 K뷰티

기사등록 : 2017-01-12 15: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뉴스핌=박예슬 기자]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이 최근 수입금지 화장품 명단을 발표했다. 질검총국은 농수산물 및 공산품의 품질과 검역업무를 총괄하는 국가기관으로, 작년 11월 기준 28개의 화장품에 대해 수입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국내에서는‘설’에 불과하던 중국발 ‘한한령(限韓令, 한류 금지령)'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중국이 수입금지 조치를 내린 화장품의 70% 가까운 19개가 한국산이었던 탓이다.

해당 업체들은 수년 동안 중국과 별 문제 없이 수출 교류를 해 왔던 만큼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자연스럽게‘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관련 보복 정국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문제가 해결돼 정상적으로 수출을 하고 있지만, 수입금지 조치 배경에는 사드 문제가 개입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간 중국시장에서 한국산 화장품은 현지 제품보다 위생적이고 품질이 좋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높은 인기를 구가해 왔다. ‘한류 드라마’에 등장하는 한국 연예인들의 젊고 건강한 피부, 세련된 스타일에 대한 동경이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수요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뷰티업계는 중국 시장을 ‘블루오션’으로 여기고, 화력을 집중해 왔다. 한국 화장품 업체들의 중국 시장 의존도는 전체 수출 실적 중 40%에 달한다. 일부 중소업체의 경우 전체 매출 중 절반 이상을 중국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발 사드보복 조치의 타격은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형 업체보다 중소·중견 업체에 더욱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문제다. 실제, 이번에 수입금지 조치를 당했던 업체들은 애경 등 몇몇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중소업체였다.

화장품업계 한 관계자는 “솔직히 대기업의 경우에는 현지 유통망이나 인지도가 확보돼 있어 중국 정부의 정책에 당장은 그리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면서 “문제는 새롭게 시장을 뚫어야 하는 중소 업체들”이라고 전했다.

당분간 중국 정부의 ‘한류 틀어막기’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사드 이슈뿐 아니라 자국 산업 육성이라는 과제가 있는 만큼 가장 큰 경쟁자인 한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를 의도적으로 막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현실화된 중국발 견제에서 우리 업계 및 당국이 취할 수 있는 방안으로 탈(脫)중국을 제시한다. 중국 시장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는 국내 화장품 업계의 수출 통로를 신흥시장 등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최근 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중동 및 동남아, 남아메리카, 러시아 등은 가능성 있는 시장으로 분석된다.

나아가 당국의 현 사태에 대한 빠른 현실파악 및 대응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중국의 이번 문건이 국내 언론에 보도되자 사드 보복 때문이 아니라 각 업체가 현지 규정을 위반했기 때문이라며 선을 그었다. 당장 오는 13일 열리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에서도 이번 건은 논의되지 않을 예정이다.

이쯤 되면 어느 나라 산업을 보호하려는 정부인지 의심스러워진다. 이번 수입금지 조치만을 놓고 사드 정국에 따른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중국 정부가 업계에 한한령 관련 지침을 내리고 있다는 사실은 업계에 이미 정설처럼 굳어진 상황이다. 정부의 보다 현실적이고 확실한 대책 논의가 필요한 때다.

[뉴스핌 Newspim] 박예슬 기자 (ruthy@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