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중국 한국화장품 제재 가속, 수입품 2위 제2안방시장 지위 날릴 판

기사등록 : 2017-01-13 17:3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우리기업 발목 묶인 사이 로컬및 외국 업체 파이 급성장
대사관 식약청은 '사드보복 아닌 품질 규정 등 우리 제조사 문제'

[뉴스핌=백진규 기자] 한국 화장품 업체들이 이른바 중국의 ‘블랙리스트’ 지정으로 중국 시장에서 주춤하는 사이, 프랑스 등 외국 및 중국 로컬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누리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한국이 사드 보복과 한한령(限韓令) 이란 족쇄에 묶여있는 동안 중국 화장품시장내  우리의 경쟁 업체들은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지난 3일 중국 질검총국(質檢總局)은 지난해 11월 기준 수입금지 화장품 명단을 발표했다. 전체 28개 블랙리스트 중에서 19개가 한국 제품들이었다. 1만1272kg에 달하는 제품들은 모두 반품 조치됐다.

뒤이어 중국 매체들은 한국에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포기하라며 한국기업들의 현지 활동을 압박하고 나섰다. 관영매체 환구시보(環球時報)는 7일 “사드 배치를 강행할 경우 중국인들이 한국 화장품을 사지 않는 등 강력한 보복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한령(限韓令) 이후 화장품 업계에 대한 노골적인 공격이란 분석이 제기되는 이유다.

중국의 한 화장품 업체 매장. <사진=바이두(百度)>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화장품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의 위기가 곧 중국 로컬 화장품 기업및 외국 기업의 기회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업계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는데 한국 화장품 업체들이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 이중고에 빠졌다는 내용이다.  

주단펑(朱丹蓬) 중국산업브랜드연구원 애널리스트는 중국 증권일보(證券日報)와의 인터뷰에서 “로레알 에스티로더 등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이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격을 내리고 있다”며 “설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한국 업체들이 위축될 조짐을 보여 경쟁사들이 ‘겹경사’를 누릴 전망이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최근의 블랙리스트 사건으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며 “한국 화장품업계의 위축은 유럽 미국 및 중국 로컬 화장품 업체들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그 동안 한국 화장품 업체들은 중국 시장에서 뛰어난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 왔다. 중국의 한국 화장품 수입 규모는 2014년 95%, 2015년 100% 성장하며 2년 연속 시장 규모를 2배씩 늘려 왔다. 한국은 프랑스에 이어 중국 화장품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우리 화장품업계에 있어 중국은 국내 시장 빼놓고 가장 큰 시장이다. 

2010년 이후 한국 화장품 업체들은 뛰어난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이어 왔다. 특히 2014년과 2015년에는 수출 규모가 각각 95%, 100% 성장해 2년 연속 시장 규모를 2배씩 늘려 왔다. 2015년 기준 한국의 대 중국 화장품 수출액은 10억8800만달러로 프랑스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대기업들은 현지 인지도도 높고, 중견 기업들도 마스크팩 BB크림 등 다양한 제품군을 출시해 매출을 높였다. 일부 중소기업의 경우 매출의 절반 이상을 중국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의 화장품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전망도 밝았다. 2016년 기준 중국 화장품 시장규모는 4000억위안(약 69조원)에 달하며, 2018년까지 5000억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중국 화장품 산업은 연 평균 12.3%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한국화장품 블랙리스트 등재가 사드 배치와 관련 없다는 해명도 제기됐다. 일정 성분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거나, 단순히 통관 신고내용과 샘플 목록이 불일치 하는 등 한국 업체의 문제였다는 설명이다.

주중 한국대사관은 “조사 결과 한국 제조업체의 책임으로 밝혀졌고 사드 보복으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으며, 오는 17일 ‘중국 진출 화장품 기업 긴급 간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역시 사드 보복이 아니라 각 업체가 현지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