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ANDA칼럼] 100년 기업과 그 적들

기사등록 : 2017-01-31 14:31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반기업 정서'가 성행하는 환경에서 100년기업 탄생 어려워

[뉴스핌=박영암 산업부장]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사업구조와 경영시스템을 제대로 혁신하여 100년 기업의 토대를 닦자고 주문했다. 구인회 창업주가 1947년 설립한 LG화학을 모태로 하니 올해로 만 70살이다.

LG그룹뿐만 아니다. 올해 장수기업의 초석을 마련하자는 신년사가 유독 많았다. 1924년생인 하이트진로는 물론 1954년생 동국제강, 1957년생인 보령제약 등이 과감한 경영혁신과 사업구조 변화로 100년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국내 기업들이 평균 17년 생존하는 현실에서 장수기업은 선망과 찬사의 대상이다. 2000여개 넘는 상장기업중 두산 우리은행 동화약품 등 장수기업은 손에 꼽을 정도다.

글로벌 기업들도 100년 기업의 영예를 얻기가 갈수록 어렵다. 

미국을 대표하는 ‘S&P 500’기업들의 평균 수명은 50년(1990년)에서 15년(2010년)으로 불과 20년새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2020년에는 10년으로 단축된다고 컨설팅업체 액센추어는 전망했다.

'100년기업의 조건'의 저자인 미국의 케빈 케네디는 기업이 장수하기 위해서는 내부혁신과 외부적응 두가지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끊임없이 변화와 혁신을 잘 할 수 있는 기업이라야 100년 넘게 생존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기업은 주목할 만하다. 

삼성 현대차 SK LG 등 한국을 대표하는 대기업집단은 제대로 된 내부혁신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4분기 반도체 호황의 결실을 누렸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과감한 투자와 기술개발로 경쟁업체를 따돌렸다. 

경영투명성과 책임경영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사회 중심 경영과 지주사 전환 등 지배구조를 바꾸고 있다. 생존하기 위해 스스로 최적의 사업구조와 지배구조를 선택, 진화하는 중이다. 

기업들의 뼈를 깍는 생존노력과는 달리 정치권의 행보는 우려를 자아낸다. 기업을 도와주기는 커녕 못 잡아 먹어 안달이다. 

‘촛불 민심’에 편승, 여야를 불문하고 정치권은 반기업정서를 부추키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저성장과 양극화의 주범이라며 기업과 기업인을 일방적으로 매도하기 바쁘다. 보다 심각한 것은 정치권조차 반기업정서를 통제하기 힘들게 됐다는 점이다. 일부 시민단체들은 광화문에서 대기업 총수의 수배전단을 붙여놓고 아동들에게 공을 던져 맟추게 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반기업정서는 입법과정을 거쳐 기업활동을 옥죄는 무기로 변했다. 정치권은 ‘재벌해체’라는 선명성 경쟁아래 무차별적으로 반기업·반시장법안을 양산하고 있다. 

탄핵정국을 틈타 감사위원 선출시 대주주 의결권을 3%로 제한하거나, 집중투표제 도입으로 소액주주의 영향력을 높이는 상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여기다 대기업의 지주회사 전환시 자사주를 소각, 대기업 총수의 의결권 행사를 막겠다는 공정거래법 개정안도 국회통과를 기다리고 있다.

19대 대통령선거에 들어가면 지금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반기업 공약들이 발표될 것이다. 부의 양극화 해소와 경제력 집중해소라는 대의명분을 내세워 개별기업이 감내하기 힘든 규제들이 양산될까 우려된다.

정치권이 경제정의를 명분으로 개입할수록 경제의 비효율성이 증가하는 ‘정치실패’현상에 한국기업들은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셈이다.

한국기업들이 이같은 환경에서 100살까지 생존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30살 청년기를 넘기는 것조차 기대하기 어렵다. 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해 한국을 탈출하는 날이 올수도 있다. 결코 먼 미래의 얘기가 아니다. 상상도 하기 싫은 최악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정치실패를 시급해 교정해야 한다. 

[뉴스핌 Newspim] 박영암 산업부장 (pya8401@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